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학ㆍ연구소 등 민간기관과 공동…원자력 규제 기준 연구 강화
원안위, 폐쇄적 원자력 안전 R&D 분야 개선 위해 ‘원자력안전연구센터’ 추진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원자력안전위원회는 대학 등 민간 기관과 함께 원자력 안전 연구ㆍ개발(R&D)를 수행, 원자력 규제 기준 연구를 강화하기로 했다. 부품 시험성적서를 위조하는 등 각종 비리가 드러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안전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나온 조치다.

4일 원안위에 따르면 올해부터 대학ㆍ연구기관과 함께 원자력 규제 기준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원자력안전연구센터(NSRCㆍNuclear Safety Research Center)‘ 사업이 추진된다.

현재 원자력 안전 R&D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ㆍ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 등 규제 전문 기관이 주도하고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건설ㆍ운영 인력처럼 폐쇄적인 원전 조직문화가 R&D 분야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때문에 관련 학계 안팎에서는 규제 기관이 R&D 업무를 겸하면 연구 집중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해왔다.

원안위 관계자는 “원자력 규제 R&D의 저변을 대학ㆍ출연연구소ㆍ민간연구소 등으로 확대하고, 다양한 연구원들의 관점과 기초기술을 접목한 규제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NSRC 도입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안전 규제의 사회적 수용성 등을 연구하고, 연구 저변을 넓히기 위해 인문ㆍ사회 융합 연구도 추진한다. NSRC는 일종의 민ㆍ관 연구그룹으로, 주관연구책임자(센터장)를 중심으로 교수급 연구원, 대학원생 등 전문 연구인력 10여명이 최대 5년간 연구 과제를 수행한다.

원안위는 올해 지정 과제 3개와 자유 공모 과제 2~3개를 수행할 NSRC를 구성할 계획이다. 과제당 지원규모는 10억원 내외다. 지정 과제는 ▷원전 해체 및 제염ㆍ복원 ▷원전사고 대응 ▷생활방사선 안전에 관한 규제기술 개발이다. 자유 공모는 ▷원전 안전성 평가 ▷방사성 폐기물ㆍ핵연료 주기 ▷방사능 방재 ▷산업용 방사선 안전 연구 ▷의료용 방사선 안전 연구 분야다.

원안위의 ‘2013년 원자력 안전 R&D 시행계획’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포함, 올해 원자력 안전 R&D 예산은 지난해보다 23.9% 증가한 258억4600만원이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