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원순, “혁신, 시민과 소통하니 다 되더라”
내년 지방선거에서 재선 도전을 선언한 박원순 서울시장이 민주당 의원들 앞에서 그 동안의 시정 성과를 과시했다. 시민참여를 통한 혁신으로 서울시정을 획기적으로 바꿔놓았다는 설명이다.

박 시장은 3일 국회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모임인 ‘혁신과 정의의 나라’ 정례포럼에 참석, 그만의 시정 노하우를 소개했다. 시민참여 시정을 위한 혁신을 목표로, 온라인과 현장방문으로 소통을 강화했더니 각종 현안을 수월하게 풀 수 있었다는 게 골자다.

특히 박 시장은 “페이스북을 하면 16만명이 받아보시고, 트위터에는 70만명 넘는 팔로워가 있다. 제가 글쓰면 몇 백만 명이 받아 본다”면서 온라인에서의 영향력을 과시했다.

시정에서 펼친 정책을 국가 차원에서도 적용할 만한다는 주장도 은연중에 했다. 2700여개 예산집행 항목을 다 공개하니까 예산 씀씀이를 누구나 다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미국과 같이 예산의 30%를 줄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미국은 (정보를 자세히 공개하니) 로펌과 같은 기관이 정부 예산을 아주 치밀하게 살피는데, 서울시와 대한민국도 낭비예산이 많을 수 있는 만큼 이것만 갖고 밤낮 없이 연구하는 사람이 있다면 예산이 엄청나게 남을 수 있다. 이게 바로 혁신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른바 시민들에게 월급안주고 공무원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박 시장은 “혁신이 이어지면 세상이 바뀐다”면서 서울시가 7600여명에 이르는 비정규직을 정규직하고도 53억원을 남긴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민주당의 ‘을을 위한 정치‘, 즉 경제민주화에도 훈수를 뒀다. 그는 “서울시가 발주한 공사대금은 ,(원청업체에) 크게 돈을 주는게 아니라 하도급업자 통장에다가 직접 줘 임금체불 가능성을 완전히 사라지게 했다”고 강조했다.

박근혜 정부의 시간제근로 활성화 정책과 창조경제와 관련된 언급도 내놨다. 서울시가 소속 공무원의 10%는 무조건 재택ㆍ유연근무 시작하라고 지시한 사례, 창조산업은 문화와 예술의 힘으로 일어난다는 차원에서 문화예술분야 첫 사회적기업으로 설립된 ‘노리단’의 사례 등이다.

현재 박 시장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내 가장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이지만, 새누리당에서는 중진의원을 중심으로 이름이 거론되고 있을 뿐 아직 출마의사를 밝힌 이는 없다.

김윤희 기자/wor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