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용산 미군부지 기름유출 사건 10년…실태조사는 ‘깜깜’
[헤럴드경제=황혜진 기자]서울 용산기지의 기름유출사건(2001)이 발생하지 10년이 넘었지만 주한미군의 협조부재로 기초적인 오염된 토양에 대한 실태조사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가 용산 미군부지 내 내부조사를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지만 미군이 묵묵무답으로 일관하며 조사를 회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미행정협정(SOFA)를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용산기지 주변의 녹사평역, 캠프킴(Camp Kim) 주변 등 기름 유출로 지금까지 오염이 확인된 대지의 면적은 최소 1만2235㎡(약 3700평)에 달한다. 2001년부터 오염이 발견된 녹사평역 부근 1만1776㎡(2004년 기준), 2006년부터 오염이 발견된 캠프킴 부근(2008년 기준) 459㎡가 기름에 오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오염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하수(녹사평역 주변 6594㎥, 캠프킴 주변 584㎥) 범위를 감안하면 오염은 상당히 심각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현재 서울시가 용산 미군 기지 관련 정화활동을 벌이는 곳은 접근이 가능한 이태원 광장 2곳과 용산구청 맞은 편 2곳에 불과하다. 시는 이 곳에 양수장을 설치해 주 1∼2회 정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여기에 들어간 비용만 총 60억원에 달한다. 오염이 드러난 곳에만 용산기지 외부의 시설로 정화하고 관련 비용도 건당 소송을 통해 환경부로부터 받아야 해 간접 비용이 적지 않다. 사실상 시가 관련 비용을 자체 조달하고 있는 셈이다.

오세영 시 지하수팀장은 “서울지구배상심의회에 심의신청을 하거나 법원에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해 받는 두 가지 방법이 있지만 심의를 통해 비용을 돌려받은 적은 한 번도 없다”고 말했다. 정화 비용을 돌려받기 위해 환경부를 상대로 지금까지 쓴 소송 비용만 7500만원에 이른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녹사평역 주변 정화 비용은 2009년과 2011년에 걸쳐 받았고 이후의 정화 비용에 대해서는 2012년 12월에 다시 소송을 제기했고 지난 24일엔 3차 변론이 있었다.서울시는 캠프킴에 대해서도 지난 3월 심의신청을 했지만 받아들여질 확률이 없어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매년 소송이 이뤄지는 셈이다.

상황이 이렇지만 서울시는 발만 동동구르고 있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필요한 미군 부대 내부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SOFA협약에 따라 미군의 협조가 필요하지만 주한미군 측이 묵묵무답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까지 직접 찾아가는 것은 물론 주한미군과 주한미국대사관 측에 각각 5차례, 4차례 용산기지 내부 조사요청 공문을 보냈지만 주한미군 측은 ‘오염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박원순 서울시장도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용산기지 내부에서 정화를 자체적으로 하거나 적어도 조사라도 할수 있는 방법을 정부, 미군 측과 협의해보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토양지하수팀은 지난 16일에도 용산기지를 방문해 기지 내부 조사를 요청했다.

상황이 이렇자 서울시 안팎에서는 정부가 주한미군과 협상해 오염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근본 대책 마련에 나서라고 촉구하고 있다.

이세걸 서울환경연합 처장은 “지금은 미군기지의 어디에서 기름이 유출되는지도모르는 상황”이라며 “소파 규정상 주한미군 측이 자발적으로 협조하지 않으면 기지 내부조사도 못 하고 접근조차 불가능한 상황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주한미군기지 일대는 남산, 한강과 연결돼 얼마 남지 않은 서울의 녹지 축”이라며 “정부가 나서서 내부 조사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