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형-휘발유’ 가고 ‘소형-디젤’ 떴다…수입차 트렌드 변화
[헤럴드 생생뉴스]최근 5년 새 수입차의 소비 추세가 급격히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2008년 배기량별 수입차 판매 비중을 보면 2000∼3000㏄가 35.8%(2만2091대)로 가장 많았고 3000∼4000㏄(30.0%·1만8493대), 2000㏄ 미만(26.2%·1만6123대), 4000㏄ 이상(8.0%·4941대) 순이었다. 2000∼4000㏄급의 중·대형차가 65.8%를 점하며 시장의 주력을 이뤘던 것이다.

그러나 올해 들어 4월까지 판매 동향을 보면 2000㏄ 미만이 53.5%(2만5826대)로 절반을 넘겼고, 2000∼3000㏄가 32.4%(1만5665대), 3000∼4000㏄가 11.6%(5592대), 4000㏄ 이상이 2.5%(1201대)로 뒤를 이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2000㏄ 미만 소형·준중형차의 약진은 특히 최근 2∼3년 새 나타난 현상이다. 2010년까지만 해도 비중이 32.4%에 그쳤지만 2011년엔 42.2%로 10%포인트나 올랐고 2012년엔 49.4%로 절반에 육박했다.

수입차 협회 관계자는 “2년 전인 2011년 수입차 연간 판매량이 10만대를 넘겼는데 그러면서 대중화로 접어드는 전환점이 된 것 같다”며 “또 40대였던 수입차의 주 고객층이 30대로 내려오면서 이들이 구매하는 상대적으로 작고 저렴한 차가 소비의 중심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료별 판매 비중에서도 휘발유와 디젤 간 역전이 일어난 것은 지난해부터.

2010년까지만 해도 휘발유 차량의 판매 비중이 61.1%(6만4181대)로 압도적이었다. 디젤은 35.2%(3만6931대)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듬해엔 디젤이 50.9%(6만6671대)로 휘발유(44.2%·5만7845대)를 제쳤고 올해 들어 4월까지의 실적을 보면 디젤 61.1%(2만9478대), 휘발유 35.4%(1만7070대)로 격차가 더 벌어졌다.

5년 전인 2008년엔 휘발유가 82.6%(5만917대), 디젤이 16.4%(1만94대)로 지금과는 딴판이었다.


수입차업계 관계자는 “예전엔 디젤차 하면 시끄럽고 시커먼 매연을 내뿜는 차란 인식이 강했는데 최근 유럽 브랜드를 중심으로 디젤차의 뛰어난 연비,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친환경성 등을 소비자들이 새롭게 발견하면서 소비 양상이 급격히 바뀐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소형차의 비중 확대는 앞으로도 더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가 대중화될수록 상대적으로 싸면서 작은 차에 대한 수요가 커질 것”이라며 “앞으로 이런 수요에 맞춘 모델들이 더 많이 국내에 출시될 것이다”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