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섣부른 상황종료... 윤창중 파문 봉합?
〔헤럴드경제=한석희ㆍ홍석희ㆍ조민선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이남기 청와대 홍보수석의 사표를 수리함에 따라 윤창중 성희롱 파문이 사건 발생 12일만에 봉합되는 모습이다. 하지만 청와대 자체 감찰이 진행되고 있는데다 미국 경찰의 수사가 진행되는 와중에 청와대가 “더 이상의 추가적인 책임은 없다”고 선을 긋고 나서 윤씨 파문을 서둘러 봉합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김행 대변인은 지난 22일 브리핑에서 미국 수사기관의 수사결과에 따라 진상이 밝혀지면 추가 인책이 있을지에 대해 “오늘 (이 수석의) 사표 수리로 더 이상의 추가적인 책임은 없다”며 추가 인책 가능성에 대해 선을 그었다. 김 대변인은 또 사표 수리를 지체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정권 초기 멤버이고 해서 조금 시간이 걸렸다”고만 밝혀다. 김 대변인은 이 전 수석의 사표 수리에 대해 “도의적 책임”이라는 표현만 썼다.

정치권 일각에선 윤씨 사건과 관련해 모든 게 투명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추가적인 책임은 없다”고 단정짓는 것은 하루빨리 윤씨 사건에 청와대가 연루되는 상황을 종료하기 위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함께 이 전 수석의 사표 수리 이후 홍보수석실 체제의 향방이 여전히 ‘오리무중’이라는 점도 청와대가 서둘러 이번 사태를 봉합하려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

김 대변인도 이날 이날 브리핑에서 “아직 아무 것도 들은 바가 없다”고 차단막을 쳤다. 실제 청와대 안팎에서는 이 수석의 후임에 대한 하마평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진행되고 있는 것도 없다고 한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도 “이 전 수석의 사표 수리 이외에 더 이상 진행되고 있는 것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이와관련 23일 오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사건이 해결 되느냐 안되느냐 열쇠는 미국 경찰이 갖고 있다”며 “이걸 어떻게 수습하고 다른 쪽으로 관심을 돌리려고 하는 모양인데 그 의지대로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신 교수는 또 “이렇게 이런 일을 그냥 넘어가려고 한다면 똑같은 일은 아닐지라도 유사한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당장 야당의 공격도 거세지고 있다.

이언주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윤창중 전 대변인의 잠적, 청와대의 모르쇠, 이남기 전 홍보수석에 대한 조용한 사표 수리 등 잠잠해지기를 기다리기 위한 듯한 청와대의 대응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조용해지기를 기다리면서 사건을 덮으려다가는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을 일이 생기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용진 대변인도 “(윤 전 대변인의) 도피 과정에서 여러 의혹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어서 이것으로 책임을 다했다고 볼 수는 없다”며 “오히려 사태를 무마하려는 것 아닌지 하는 의혹이 든다”고 말했다.

hanimom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