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野 당 탕평 2제> 민주당, 친노 껴안기ㆍ젊은 야당 만들기
〔헤럴드경제=김윤희ㆍ홍석희 기자〕 민주당의 조직개편은 당대표 선거에서 소원해진 계파간 화합과 세대교체가 핵심이다. 10월 재보선에 당의 사활이 걸린만큼 화합을 통해 새누리당과 안철수 신당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김한길 대표와 당 지도부의 방점은 우선 계파 간 앙금 해소에 있다. 그 일환으로 내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5주기부터 추모행사를 당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치르기로 했다. 당차원의 자체행사를 준비하거나 노무현재단과 공동주최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 4주기를 맞은 현재까지 관련 행사는 노무현재단과 일부 시민단체가 후원금을 통해 충당해왔다.

지난 19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노 전 대통령의 추모제에서 김 대표가 일부 참석자들에게 봉변을 당하는 등 계파갈등이 외부로까지 분출되자 이를 해소하는 차원에서 추진됐다.

김 대표는 23일 봉하마을에서 열리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 4주기 추도식에도 참석한다. 김 대표는 당 소속의원들에게도 직접 “가능한 한 많이 참석하라”고 독려하며, 이날 오전 9시로 예정됐던 고위정책회의를 24일 오후 2시로 하루 연기했다.

당의 ‘나이’도 확 줄인다. 민주당은 지난 21일부터 정년이 8년 미만 남은 30여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연봉에 정년까지 남은 연수를 곱해 지급하는 파격적인 조건으로 희망퇴직 접수를 시작했다. 민주당은 그간 여러 차례에 걸쳐 당직자 인선 물갈이를 시도했으나 당직자들의 반발에 부딪쳐 가로막혀왔다. 다만 23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한 직원은 아직 없다.

한 당직자는 “당 외부적으로는 정년을 60세로 연장하고, ‘을(乙) 정당’을 강조하는데 60세는 고사하고 70세 의원들도 즐비하지 않느냐”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냈다. 한편 올 연간 160억원의 국고보조금 가운데 대부분을 희망퇴직비로 내건 데 대한 부담도 있다.

wor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