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종합>김정은 특사 중국 급파.. 이상기류 봉합시도
북한의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2일 “김정은 동지의 특사로 최룡해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이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기 위하여 22일 비행기로 평양을 출발하였다”고 보도했다. 중앙통신은 그러나 최 총정치국장이 중국을 방문하는 구체적 이유나 일정을 밝히지 않았다.

정부 소식통도 "김정은의 특사가 중국을 방문, 고위층을 만날 것으로 보인다"고 확인했다. 이 관계자는 "특사 파견은 최근 중국과의 관계에서 이상기류를 봉합하기 위한 다목적 포석"이라고 분석했다.

김정은 제1위원장이 중국에 특사를 보내기는 이번이 처음이며, 북한이 고위급 인사를 중국에 파견하기는 지난해 8월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이후 9개월 만이다. 또 북중간 고위급 교류로도 지난해 11월 리젠궈 중국 정치국원을 단장으로 한 중국 대표단이 평양을 방문한 이후로 처음이다.

김정은 제1위원장이 북한의 신(新) 군부 실력자로 꼽히는 최 총정치국장을 특사로 급파한 것은 최근 급격하게 나빠진 중국내 기류를 감안, 북중관계 복원을 시도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특히 다음달 7,8일로 예정된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자국의 입장을 중국측에 설명하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 북한의 비핵화에 공감하고 있는 양국 정상은 회담에서 북한에 대해 핵포기와 장거리 미사일 개발 중단 등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박근혜 대통령의 다음달 하순 중국 방문에 앞서 특사를 파견, 북중관계 복원을 통해 중국을 통한 북한 압박이라는 우리 정부의 카드를 사전에 없애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또 최근 중국 어선이 북한에 나포된 것과 관련, 중국측에 사건의 전모를 설명하는 한편, 중국의 이해를 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외교부는 이례적으로 성명을 통해 북한의 중국어선 납치를 강력하게 항의한바 있다.

전병곤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이에대해 “북·중간에는 상호간 소통이 단절되다시피 했는데 최 총정치국장 방중을 통해 관계 복원을 시도할 것”이라며 “북한은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고 중국은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북한을 유도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대원ㆍ원호연 기자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