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창사 60돌 재창간 10돌 - 스펙을 넘어서…> 중견·중기 40.8% > 대기업 36.6%…취업 선호도 쏠림 없었다
본지·한국재무설계 ‘특성화고 취업 및 기업·재정설계 인식’공동 설문
“中企서 역량발휘 유리” 40% 응답
‘간판’보단 실리적인 생각 전환 가속

“스스로 특성화에 진학했다” 70.2%
정부 기술인재 육성 등 큰몫 톡톡




이번 설문에서 의미있는 결과 중 하나는 고졸 채용의 핵심에 있는 특성화고 3학년의 취업 선호도가 예상과 달리 대기업에 쏠리지 않았다는 점이다.

졸업 후 희망하는 곳으로는 대기업(36.6%)이 가장 많았지만 중견기업 23.2%, 중소기업 17.6%로 비교적 고르게 분산됐다. 오히려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을 합치면 40.8%로, 대기업을 앞질렀다. 이는 고졸 채용이 다양화할 수 있는 근거이자 정부의 고졸채용 정책에도 적용 가능성이 큰 의미있는 데이터라는 평가다. 통상적으로 대기업으로 선호도가 집중되는 것과 달리 중견이나 중기로 가겠다고 하는 이가 많은 것은 고졸정책을 보다 유연화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성화고 3학년생은 선호 기업의 규모에 대해서는 실리적인 생각이 짙었다. 추세가 조금 바뀌는 분위기도 엿보인다.

중소기업을 원하는 학생에게 그 이유를 물어보니 ‘대기업에 비해 자신의 역량을 더 잘 발휘할 수 있을 것 같아서’가 최다(40.0%)였다. ‘승진이 잘 되는 등 경영자로 올라갈 가능성이 클 것 같아서’(18.0%)가 두 번째였고, ‘대졸자와 차별이 조금 덜할 것 같아서’(15.0%)와 자신의 기술을 존중해줄 것 같아서(11.0%) 순이었다. ‘정부가 중소기업을 정책적으로 우대하겠다고 해서’(9.0%)라는 답은 적었지만, 중소기업 시대를 표방하는 정부 정책 흐름을 알고 있는 이도 10명 중 1명꼴로 나와 시선을 끌었다.


이 같은 결과는 대기업이라는 ‘포장’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중소기업에 가서 차별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고 싶다는 의중이 짙게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학생의 가치관이 뚜렷한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특성화고를 왜 갔느냐고 물었더니 ‘스스로 선택했다’(70.2%)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10명 중 7명은 특성화고를 자발적으로 원해 갔다는 의미다. 선생님의 권유(13.1%)나 부모님의 권유(11.4%)가 뒤를 이었고, 주변환경 때문(4.6%)이라는 답은 생각보다 많지 않았다. 졸업 후 주로 산업현장에 배치되는 특성화고의 성격을 잘 알고, 스스로 선택해 입학했다는 것은 기술인재 육성, 산업인재 육성 방향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음을 예고한다. 이는 대학 4년을 허송세월하기보다는 현실적으로 기술교육을 통해 산업현장에 일찍 취업함으로써 보다 많은 것을 얻겠다는, 얻을 수 있다는 실리적인 판단이 배경에 깔렸다는 평가다.

실제 특성화고 3학년 반 이상(51.5%)은 ‘학력이나 학벌, 스펙에 관계없이 능력있는 사람이 성공하고 대접받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믿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했다. ‘아니다’는 학생은 25.9%였다.

이 같은 측면에서 (고등학교)졸업 후 취업하겠다(76.9%)는 답이 대학에 진학하겠다(18.9%)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것은 유의미한 결과다. ‘4년 더 일찍’ 취업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이 높아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김영상ㆍ손미정 기자/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