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주공간서도 뚜렷히 보이는 우리땅 독도…아리랑 3호가 보낸 세계 주요 명소
국내 최초 서브미터급 위성 아리랑 3호 백서 발간…펜타곤ㆍ메카 등 촬영

올 하반기 아리랑 5호ㆍ내년과 2019년 다목적실용위성 3Aㆍ6호 발사 계획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오는 18일로 우주 공간을 돌아다닌 지 1년이 되는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3호(다목적 실용위성 3호)가 독도와 최근 중국 쓰촨성 지진 피해 현장을 우주에서 찍어 보내왔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아리랑 3호 발사 1년을 맞아 궤도 상에서 촬영한 주요 영상, 개발과정ㆍ내용, 성과 등을 담은 백서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2004년부터 8년간 국내 기술진이 주도해 개발한 아리랑3호는 지난해 5월 18일 일본에서 발사돼 현재 685㎞ 상공에서 고해상도 전자광학 카메라로 지구관측 활동을 하고 있다.

백서는 아리랑3호가 찍은 2만여장의 영상정보 중 독도, 미국 국방부(펜타곤), 중국 쓰촨성 지진 피해 현장,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 경기장, 스페인 세비야 태양광 발전소 등 주요 사진<사진>을 담았다.


국내 최초 서브미터급(해상도 1m 이하) 위성인 아리랑3호가 해상도 70㎝급의 고해상도 전자광학 카메라를 사용해 또렷한 영상을 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백서는 도서와 전자책(e북)으로 발간됐다. 전자책 백서는 항우연 홈페이지(www.kari.re.kr)에서 열람·활용할 수 있다. 미래부는 백서를 DVD로도 제작해 홍보용으로 배포할 계획이다. 아리랑3호가 수집한 고해상도 영상정보는 지난달부터 공공안전, 국토·자원관리, 재난감시 등에 쓰이고 있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백서 발간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 기술력으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서브미터급 해상도와 기동성능을 갖춘 아리랑 3호를 개발ㆍ운영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가 우주 선진국으로 진입하였음을 전 세계에 보여준 것”이라고 밝혔다.


아리랑3호 개발은 미래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8년간 공동으로 추진했으며, 항우연이 개발을 주관하고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 두원중공업, 한화, AP우주항공, 세트렉아이 등 다수 국내 기업이 참여했다.

미래부는 올 하반기 중 다목적실용위성 5호(아리랑5호) 발사를 추진하고, 다목적실용위성 3Aㆍ6호를 각각 2014년, 2019년을 목표로 개발할 계획이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