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구는 과학?…가구는 예술!
금호미술관 ‘신진 디자이너들’展
이쯤되면 가구는 ‘도전’이요, ‘발명’이다. 우리의 생활공간을 채우고, 그 공간의 이미지를 만드는 가구는 분명 일상용품이다. 하지만 도전이자 발명품일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색다른 전시가 개막됐다.

서울 사간동 금호미술관이 마련한 ‘새로운 물결:가구와 신진 디자이너들’이 바로 문제(?)의 전시다. 매년 디자인 전시를 개최해온 금호는 올해는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젊은 가구디자이너의 작업을 통해 현 시대 디자인과 가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30대 디자이너는 재기발랄한 최신 디자인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가구를 다양한 소재와 형태로 풀어냈다. 무게 1.28㎏에 불과한 ‘초경량 의자’(1.3체어)를 만들어 세계적인 상을 휩쓸었던 김기현(디자인메소즈)이 좋은 예다. 그는 ‘1.3 체어’의 재료인 압축 발사나무를 부여잡고 씨름했던 과정을 보여주는 실물도해를 공개했다. 디자인메소즈는 또 높낮이가 자유자재로 조절되는 ‘등반가(클라이머)’와 사용자의 엉덩이와 다리를 실측해 제작한 ‘스쿨 체어’도 선보였다.

 
사용자의 인체구조를 측정해 시트(seat)의 깊이감과 기울기를 적용한 디자인메소즈의 ‘스쿨 체어’    [사진제공=금호미술관]

그 중에서도 ‘스쿨 체어’가 흥미롭다. 토플 등을 가르치는 어학원을 위해 만든 ‘스쿨 체어’는 수강생 6명의 인체구조를 측정해 이에 맞는 의자를 디자인한 것이 특징이다. 시트(seat)의 깊이감과 기울기, 외형은 이들 대표군의 앉는 자세를 직접 석고로 본을 떠, 과학적으로 데이터화해 완성됐다. 발명에 가까운 현대 디자인 가구의 논리와 체계를 드러내는 예다.

여타 디자이너의 작업도 흥미롭다. 이상혁은 건축공사장의 비계 구조를 본뜬, 임시 가설물 같은 가구를 내놓았다. ‘의자며 선반이라는 게 반드시 견고한 게 전부는 아니지 않느냐’고 그는 반문한다. 장민승은 각종 합판으로 제작한 테이블 연작을 내놓았고, SWBK는 수입 폐목재를 재활용한 ‘업사이클링’ 가구를 출품했다. 아이네클라이네퍼니처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섬세한 모양새의 주문형 책상과 의자를 제작했다. 6월 30일까지. (02)720-5114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