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곳곳서 열리는 공공기관 이사회…“새 사장은 부처 출신으로”
[헤럴드경제=최남주ㆍ윤정식 기자]이명박 정부에서 임명한 공공기관장에 대한 대대적인 물갈이가 시작된 가운데 공기업들의 후임 사장 인선 작업이 시작됐다.

9일 한국가스공사는 이사회를 열고 이미 사의를 표한 주강수 사장의 후임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한다. 국내 최대 공기업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도 오는 13일 같은 절차를 진행한다. 구성된 임원추천위원회는 사장 공모 기준 및 기간 등을 정한 뒤 이달 안에 곧바로 공모 절차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절차상 후임 사장은 임원추천위가 공모 절차를 거쳐 3배수의 후보를 선발한 뒤 청와대에 추천, 대통령이 신임 사장을 최종 선정하는 방식이다.

이들 기관 외에도 물갈이는 본격화 되는 양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기관장은 “주강수 사장 외에도 강승철 한국석유관리원 이사장, 정승일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 등 소위 MB맨으로 불렸던 기관장들은 이미 대부분 사표를 냈다”고 말했다. 주로 에너지ㆍ자원 분야 산하기관장들이다.

지난 1월 임기가 끝난 김기학 한전원자력연료 사장과 지난달 초와 이달초 각각 임기가 끝난 김문덕 한국서부발전 사장과 김용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 지난 8일 임기가 만료된 변정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이사장 역시 교체대상이다.

이런 가운데 기관장 교체가 예정된 기관들은 새로 임명될 사장이 오히려 소관 부처 관료가 됐으면 하는 내부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이미 기관장이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진 산업부 소관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내부에서는 새로 임명되는 기관장은 산업부 출신 관계자가 되기를 희망하는 분위기”라며 “완전 외부출신 인사가 올 경우 공기업 업무의 특성을 파악하는데도 시간이 걸리고 소관 부처와의 협업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기관 고위 관계자도 “직원들에게는 내부 승진 사장 사례가 좋은 일이지만 오히려 해당 기관의 발전을 위해서는 소관 부처 고위직이 사장으로 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기획재정부의 경영평가가 마무리되는 5월중 교체대상 기관장들에게 최종 통보를 통해 기관장들에 대한 일괄 사표 수리를 처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