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인의 ‘포스트 백남준’…한국문화 진수 알리다
만찬자리 예술가들 대거 참석
“이들이 ‘포스트 백남준’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7일(현지시간) 참석한 ‘한ㆍ미 동맹 60주년 만찬’은 한국 문화의 현재를 알리는 쇼케이스를 방불케 했다. 미디어아트, 한국의 전통 패션디자인, 젊은 아티스트의 클래식 연주 열기가 세계적인 문화 공간인 스미스소니언박물관을 뜨겁게 달궜다.

오바마 대통령이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언급할 정도로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는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순수 예술과 전통문화에 대한 해외의 관심은 이에 미치지 못한다. 만찬은 K-팝(Pop) 스타 외에 젊은 아티스트를 소개함으로써 한국 문화와 예술의 진수를 알리는 문화 홍보의 장을 대신했다.

하이라이트는 백남준에 이어 세계적인 미디어아티스트로 떠오르고 있는 이이남 문경원 류호열 양민하 최서우 등 5명이 펼친 ‘인카운터(Encounter)’ 전시회였다. 때마침 스미스소니언박물관에서 ‘백남준: 글로벌 비저너리’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점을 감안해 기획된 것이다. 이이남의 ‘겸재와 세잔의 만남’, 최서우의 심청을 소재로 한 ‘물의 위로’, 문경원의 ‘숭례문’, 양민하의 ‘매화’ 등은 전통을 현대에 가미한 멋을 알렸다.

세계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는 20대 피아니스트 손열음과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는 듀오 연주를 펼쳤다. 차이콥스키와 사라사테의 곡 외에 한ㆍ미 동맹 60주년에 맞춰 미국인에게 친숙한 터틀스의 ‘해피투게더’를 들려줬다.

만찬이 진행된 테이블 세팅에도 한국 전통의 멋이 흘렀다. 박 대통령의 취임식 한복과 G20 정상회담 당시 영부인 초청 한복쇼를 담당했던 한복디자이너 김영석이 전통적 미감을 살린 테이블 데코레이션을 선보였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해외 순방 과정에서 한국의 젊은 아티스트를 적극 소개할 예정이어서,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한국 문화(K-Culture)를 알고 즐기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워싱턴=한석희 기자]ㆍ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