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셀트리온 매각 진상 철저히 규명해야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보유 주식 전량을 해외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조직적인 공매도 공세와 악의적인 루머에 더 이상 회사를 방치할 수 없었다는 게 그 이유다. 셀트리온은 인체 단백질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의 복제약(바이오 시밀러)을 개발 생산하는 국내 최대 생명공학 기업으로 코스닥 시가총액 1위 업체다. 이런 알토란 같은 기업이 해외 자본 손에 넘어가게 됐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다. 더욱이 서 회장은 “결코 결정을 번복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아예 못까지 박았다. 이로써 ‘한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제약회사’에 대한 희망은 물 건너가게 됐다.

바이오 시밀러 업계에서는 셀트리온이 글로벌 메이저 제약사들 사이에서는 그야말로 ‘좋은 매물’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벌써 내로라하는 세계적 관련 기업들이 서 회장 지분 취득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그만큼 이 회사의 기술력과 사업 전망이 밝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이런 기업을 제대로 지켜내지 못하는 우리의 현실이 안타깝고 화가 난다. 셀트리온은 개인 기업으로 기업주의 결정은 당연히 존중돼야 한다. 다만 앞으로는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셀트리온 사태는 반면교사가 돼야 한다. 먼저 이번 사태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 서 회장은 셀트리온이 2년 넘도록 공매도 공격에 시달렸지만 금융 당국의 감시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오죽하면 “자본세력에 농락당하는 데도 조국은 도와준 게 없다”는 말까지 했을 정도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주가 변동에 영향’을 이유로 즉답을 하지 않아 그 진위를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하지만 ‘제2의 셀트리온 사태’ 방지를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드시 명확한 답변을 내놔야 한다. 그 결과 서 회장 주장이 사실이라면 자본시장을 교란하는 악성 투기 세력의 뿌리를 뽑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젊은이들이 풍부한 창의성과 상상력을 밑천으로 마음껏 창업하며, 이를 글로벌 기업으로 키워나가야 우리의 성장 동력도 함께 커지게 된다. 이게 박근혜 정부가 주창하는 창조경제의 핵심이며 그 대표적 사례 기업이 셀트리온이다. 이번 사태를 정부가 예사롭게 넘겨선 안 되는 이유다. 셀트리온은 외국 자본 손에 넘어가더라도 셀트리온을 뛰어넘는 후속 업체가 나와야 대한민국의 미래도 있다. 셀트리온 사태 후속 대책 마련을 위한 정부 차원의 태스크포스 구성도 검토해 볼 일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