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통의 달인 조환익 한전 사장, 밀양에서도 通할까?
[헤럴드경제=윤정식 기자]8년을 해묵은 경남 밀양 송전탑 설치 문제가 전환기를 맞게됐다. 정부와 한전은 물론 국회까지 나서 밀양 문제 해결에 적극 동참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특히 그동안 정부 내에서 ‘소통의 달인’으로 통하던 조환익 한전 사장(사진)이 직접 주민들과의 소통에 나서면서 사태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는 평가다. 

정부는 올해와 내년 안정적 전력 수급을 위해 발전소를 추가 가동할 계획이다. 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8일 국회 업무보고에서 지난해 겨울까지 이어졌던 전력난 사태가 앞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밀양 지역의 송전탑 건설 지연으로 오는 7월 28일 시운전(올해 12월 31일 상업운전 가동)이 예정된 신고리3호기와 내년 9월 가동 예정인 신고리4호기의 가동이 늦어질 경우다.

결국 조 사장이 직접 나섰다. 그는 지난 5일 밀양 현지로 내려가 송전선이 지나는 곳 마을 주민들과 직접 토론에 나선 것이다. 

이 자리서 주민들은 한전의 송전탑 건설과 이에따른 주민생활 지원안에 대해 찬ㆍ반 양론을 모두 드러내며 수시간 동안 활발한 토론을 이어갔다. 이 곳은 전임 사장이 방문 당시 계란세례를 맞기도 했던 곳이다.

그러나 조 사장이 주민들과 격의 없이 대화를 나누며 인간적 면모를 보이자 주민들도 현안에서는 맞서더라도 대화의 물꼬는 이어가겠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사장은 이번 대화를 위해 이미 3월에도 밀양을 개인적으로 방문해 나름의 지역 상황에 대한 탐구를 해왔을 정도로 성의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밀양 송전텁 건설은 윤상직 산업부 장관이 “4월 중 산업부 현안 가운데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밝혔을 정도로 당면 과제다. 발전소를 만들어 놓고도 전기를 송전하지 못해 전력난을 겪을 수는 없다는 절실함 때문이다. 윤 장관은 “보상 수준 올리거나 지역주민을 위한 동반사업도 감안하고 있고 좀 더 파격적인 안이 나올수도 있다”며 “국회 산업위 차원에서도 이달 중에 밀양 문제를 매듭을 짓자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11일 국회에서는 민주당 조경태 의원의 중재로 한전과 밀양주민 대표들 간의 송전탑 피해 4차 대책회의를 갖는다. 이 자리에서 한전은 지금까지 제시된 보상안보다 지역 소득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등 진전된 방안을 주민들에게 제시하고 협조를 당부한다는 계획이다.

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