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성은 파스…여성은 진통제
편의점 의약품판매는…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편의점의 안전상비의약품 판매 실적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파스를, 여성은 진통해열제를 특히 많이 찾는 것으로 드러났다.

BGF리테일의 편의점 CU(씨유)가 지난 1월부터 지난달까지 3개월가량의 안전상비의약품 판매 동향을 분석해보니, 진통해열제는 구입 고객 중 여성 비율이 58.7%였다. 이는 남성에 비해 17.4%가량 높은 수치다.

CU 관계자는 “여성 고객들은 두통이나 생리통 등 자신을 위해서도 진통해열제를 구입하지만, 아이가 갑자기 열이 났을 때 약을 구입하러 오는 경우가 많아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분석했다.

진통해열제는 주로 직장여성이나 주부 등이 찾기 때문에 주택가와 오피스 상권 등에서의 판매 비중이 전체의 3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용 진통해열제는 주말 매출이 평일에 비해 180%나 높았고, 밤 10시부터 오전 6시 사이의 구매 빈도도 다른 시간대에 비해 65%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파스는 구입 고객 중 남성의 비중이 71%, 여성이 29%로 남성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이는 여성에 비해 육체적 활동이 많은 남성이 타박상 등을 간단하게 해결하기 위해 편의점에서 파스를 많이 찾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 외에도 싱글족들이 많이 사는 독신자 주택 상권에서는 감기약 판매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상권에서 감기약 판매는 다른 상권보다 4%가량 높았다.

리조트나 휴게소, 터미널 등 여행으로 이어지는 특수 상권에서는 소화제 판매가 높았다. 휴양지에서는 아무래도 과식하기 쉽다 보니, 소화제 판매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성별로 그 구입 고객을 분석해보면 남성이 52.4%, 여성이 47.6%다.

이 외에도 편의점에서의 안전상비의약품 판매는 약국이 문을 닫는 시간대인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 사이가 전체 판매의 50%를 차지했고, 주말 매출이 평일보다 75%나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기용 BGF리테일 상품본부장은 “편의점은 24시간 운영하는 유통채널로서 심야 안전상비의약품 판매 등 국민 편의를 돕는 사회적 인프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현정 기자/kate01@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