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향토기업 46% “매출전망 흐림”
[헤럴드경제=김영상 기자]외국산 저가상품의 공세와 원가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절반에 가까운 국내 향토기업들이 매출 하락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창업 후 해당 고장에서만 30년 이상 경영활동을 하고 있는 향토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경영현황과 애로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향후 매출전망에 대해 ‘감소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이 46.1%였다. ‘현 수준 유지’라는 답변은 29.2%,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24.7%였다.

매출 감소를 예상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외국산 저가상품의 유입’(31.1%)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원자재가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22.8%), ‘근무인력의 고령화’(21.0%), ‘지역경제의 위축’(19.6%) 등을 차례로 거론했다.

대한상의는 “한 지역에서 30년이상 뿌리를 내리고 경제발전에 기여해 온 향토기업의 경영부진은 지역내 일자리감소와 성장잠재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거세지는 외국산 저가품의 공세와 채산성 악화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향토기업이 체감하는 지역민들의 관심은 다소 줄고 있으며, 지역 내 경영여건도 예년에 비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민들의 관심도에 대해 ‘작아지고 있다’(52.5%)고 답한 기업이 ‘커지고 있다’(40.2%)는 답변보다 다소 많았다. 지역민들의 관심이 줄고 있다고 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떨어지는 가격경쟁력(34.1%), 외지브랜드 선호(30.7%), 마케팅활동 부족(28.4%), 낡은 이미지(3.4%) 등이라고 했다.

한편 향토기업 10곳 중 4곳은 정부나 지자체로부터 지역토착기업 육성과 관련한 별도의 지원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또는 지자체로부터 지원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38.8%가 ‘없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지원제도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55.3%)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18.8%)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향토기업 육성을 위해 필요한 정부정책 과제로 응답기업들은 ‘세제혜택 강화’(31.5%)를 첫 손에 꼽았고, 이어 ‘우대분위기 조성’(29.2%), ‘기술개발 지원’(22.8%), ‘해외진출 지원’(11.0%), ‘공공기관의 제품구매 확대’(5.0%) 등을 차례로 들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오랜기간 지역사회와 동고동락해온 향토기업을 육성, 발전시키는 것은 신규 기업의 유치 못지않게 중요하다”며 “향토기업의 지속성장이 가능하도록 정부와 지방정부는 지역내 재투자에 대한 세제감면을 강화하고 우수인재 양성과 판로개척 등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향토기업도 경쟁환경 변화에 맞춰 제품의 질을 높이고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