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현대차ㆍ非현대차의 ‘다른 이유로 멈춘 조립라인’
국내 완성차 업체 가운데 현대차, 기아차만 식목일에 라인을 세웠다는 내용의 ‘현대ㆍ기아차만 4월 5일’<4월 5일 헤럴드경제 2면> 기사가 나가자 독자들로부터 메일이 쇄도했다. 현대차에서 20년째 근무하고 있다는 한 독자는 ‘작년 연봉이 1억원이었으나 영업비용과 세금을 떼니 결론적으로 6000만원정도 남았다. 현장에선 특근과 잔업까지 해야 그 연봉이 가능하다’면서 ‘언론에서 좋은 직장으로 봐주는 것은 좋지만 각 직장별로 장단점이 있는 것 아니냐’고 항변했다. ‘신(神)의 직장’처럼 보이지만 ‘신(神)이 숨겨 놓은 직장’들과 비교해 보면 현대차, 기아차도 ‘빛 좋은 개살구’라는 것이다.

물론 우리 주변에는 엄청난 임금과 복지 수준을 자랑하는 직장이 의외로 많다. 현대차, 기아차처럼 뭔가를 창조해 내고 수출에 보탬이라도 되면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적어도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 만큼은 현대차, 기아차는 늘 경쟁사들의 부러움의 대상이다. 최근 현대차 노조가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 이후 수당에 대한 이견으로 주말 특근을 5주째 거부하고 있는 것도 업계에선 이해하기 힘들다는 의견이 많다. 주말 특근조(組)가 2개조로 늘면서 1인당 근로시간이 줄어드는데 어떻게 종전처럼 수당을 달라고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당장 한국지엠 군산공장은 유럽 수출 물량 감소로 이달 중 9일 동안 라인을 멈추기로 했다는 소식이 들린다. 토ㆍ일요일을 제외하고 한달에 보통 22일을 정상 가동한다고 봤을 때 군산공장 근로자들은 이번달에 13일만 제대로 급여를 받게 됐다. 라인이 멈춘 9일은 평균 급여의 70%를 수령하게 돼 전체적으로 이달 월급은 약 10% 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르노삼성도 마찬가지다. 주말 특근과 주중 잔업은 이제 언감생심이다. 현재 평일 정상 근무만 2교대를 하고 있다. 지난해말 SM5 플래티넘이 선전하자 잠깐 재개했던 1시간 잔업도 지금은 중단했다. 르노삼성 한 관계자는 “과거 SM5와 SM3가 한참 잘 나갈 때는 잔업과 특근으로 지금보다 월 평균 약 100만원은 더 챙겨갔다. 잘나가는 것도 한 순간이다. 우리도 희망퇴직 상황이 올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전했다.

이번 기회에 독일 BMW나 오펠 처럼 탄력근무시간제, 근로시간 저축제를 도입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회사가 잘나갈때 했던 근로자의 특근에 대한 수당을 당장 지급하지 말고 저축해 뒀다가, 나중에 회사가 어려워져 일부 정상 가동이 힘든 상황에서 지급하면 근로자와 기업 모두에게 약간의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

김대연 기자/sonam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