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경재 “방송장악 없다”→野 “제2 최시중사태”
[헤럴드경제=김윤희ㆍ양대근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이경재 전 새누리당 의원을 방송통신위원장으로 내정하면서 야당 측에서는 “제 2의 최시중 사태가 일어날 것”이라며 이에 대한 공식적인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특히 민주통합당은 향후 인사청문회에서 어느 때보다 날카로운 칼날을 들이댈 것으로 관측된다.

25일 최민희 민주당 의원은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일단 실망스럽다. 정부조직법이 47일간 표류한 이유가 방송장악에 대한 경고였는데 (박 대통령이) 방통위원장을 중립적이고 신망있는 있는 인사로 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민주당은 이 내정자가 ‘친박 실세’라는 점에서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유 의원은 “누가봐도 오른손에 방통위, 왼손에 미래부를 쥐고 있겠다는 것”이라면서 “인사청문회에서는 개인비리는 부차적인 문제이고 주로 정책적인 것을 따질 것”이라고 밝혔다.

대표적인 ‘원조 친박’으로 분류되는 이 내정자는 ‘종편 허용’을 주장하면서 미디어법 처리에 조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내정자는 지난 24일 위원장 내정 직후 가진 인터뷰에서 “지금은 방송을 장악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방송의 공공성을 지키고, 미래창조과학부와 협의를 잘 이끌어 일자리를 창출하고 방송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나의 임무”라고 말했다. 야당의 ‘편파 방송’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답변이었다.

그러나 김현 민주당 대변인은 “정치중립성이 담보되지 않은 인물을 방송통신위원장으로 임명한다면 잘못된 방송 및 언론정책이 되풀이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의 이 같은 우려는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기인됐다. 최시중 전 방통위원장은 지난 2010년 3월 대정부 질의에서 “언론을 길들인 일 절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방송을 장악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이 내정자의 발언과 유사한 맥락이다. 민주당의 한 재선 의원은 “지난 정권에서 ‘언론환경’이 크게 나빠졌다고 보는 의원들이 많다. 정부조직개편안 처리에서 마지막까지도 방송을 물고 늘어진 것 역시 같은 맥락”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내정자는 지난 정부에서 세종시 수정론 갈등을 빚을 때 박 대통령의 입장을 적극 옹호했다.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당시 선대위 부위원장 겸 미디어홍보위원장으로 박근혜 경선캠프를 도왔다. 지난 18대 국회에선 문방위원으로 활동하며 미디어법 처리에 일조했고, 박 대통령에게 “신문의 방송 진출을 허용해야 한다”는 조언도 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한편 민주당에서는 이 내정자의 성희롱 전력까지 거론하고 있다. 그는 지난 2003년 12월 국회 정치개혁특위 위원장석을 점거하고 있던 김희선 열린우리당 의원에게 “다른 여자가 우리 안방에 누워있으면 주물러 달라는 것이다”라고 말해 물의를 빚은 바 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