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근혜정부 1개월>첫째~둘째~세째... 세심함도 좋지만 관가는 지금
[헤럴드경제= 손미정 기자]“~하도록 노력해야한다”, “~해서는 안된다”, “확실히 해달라”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후 수석 회의와 부처 업무보고 자리에서 한 발언들은 대게 이 같은 ‘지시형’으로 끝난다. 박 대통령이 한 번 발언을 시작하면 적게는 서너개에서 많게는 열 개가 넘는 주문들이 쏟아져나오는 것은 기본이다. 메시지도 구체적이고 명확하다. 뭘 해야하고 뭘 하지 말아야 하며, 무엇을 더 꼼꼼히 신경써서 챙겨야하는지 꼼꼼하게 챙기고 따지는 게 ‘박근혜 스타일’이다.

그 중에서도 ‘대선 공약 실천’은 박 대통령이 가장 힘주어 강조하는 부분이다. 지난 18일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서는 “백방으로 열심히 했다고 이렇게만 해서는 안 되고, 5년 후에 국민의 평가가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반드시 유념하라”, “인수위에서 내놓은 140개 과제와 4대 국정과제를 자기 해당부서에서 해당되는 사안들을 꼼꼼히 챙겨서 시간표를 정해서 반드시 하나도 빠짐없이 공약을 지켜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이같은 ‘지시형’ 화법의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세심’하지만 ‘숨 막히는’ 부분도 없잖다.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내건 ‘창조경제’란 슬로건이 무색할 정도로 공무원 사회의 창의력을 위축시킨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무슨 일을 하려고 해도, 이게 대통령 공약에 맞느냐는 질문에 아무런 아이디어를 낼 수도 없다"는 하소연은 이미 공무원 사회에서 공공연하다.

유용화 시사평론가는 “창조라는 것이 개인의 자발적 능력을 극대화시킬 때 나오는 것”이라며 “관료사회도 그간 정형화 돼 있는 것에 익숙할 텐데 거기에 더 프레스(압력)을 가해서 나갈 방향과 구체적인 내용까지 규정해주면 국정의 광범위한 운영 자체가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박 대통령이 행정부를) 운영하는 기본 자체가 시대의 흐름과 자발성, 창조성과는 맞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반면, ‘지시형’ 화법은 집권초기 대통령에게 나타는 일반적인 현상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행정부 구성원들과 국정철학을 공유하면서 동시에 조직을 장악하는 시기인만큼 집권초기 대통령이 다소 일방적으로 행정부를 진두지휘하려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이 경우, 세심한 부분까지 대통령이 알고, 챙기고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최 진 대통령리더십연구소장은 “초기에는 대통령이 국정철학을 행정부 구성원 개개인에게 심는 기간이다. 씨앗을 뿌리는 시기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이러한 일방향 소통이 지속되고 시시콜콜한 부분까지 간섭하게 되면 문제가 있다. 이런 것을 유연하게 조절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