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6일 안중근 의사 순국 103주기 추모식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국가보훈처는 일제 치하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의사의 순국 103주기 추모식이 26일 오전 10시 남산공원 내 안중군의사기념관에서 열린다고 25일 밝혔다.

안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고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전 세계에 알린 뒤 체포돼 1910년 3월 26일 순국했다.

이 추모식은 안중근의사숭모회 주관으로 국가보훈처 차장, 독립운동 관련 단체장, 광복회원, 유족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행사는 안응모 안중근의사기념관장의 추모사, 단국대 국악과 학생들의 추모공연, 제11회 안중근의사 추모 전국 글짓기대회 수상자의 헌시 낭독 및 수상자 시상, 헌화, 역사음악어린이합창단의 추모 순으로 진행된다.

이날 오후 6시 세종호텔 3층 세종홀에서는 숭모회와 중국 및 일본 측 행사 참가자가 모여 안 의사의 애국정신과 평화사상 선양을 위한 국제친선 교류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황해도 신천에서 1879년 태어난 안 의사는 1905년 을사늑약 소식을 전해듣고 중국 상해로 건너가 국권회복의 길을 강구했다.

부친상을 당해 귀국한 뒤 삼흥학교, 돈의학교 등을 세워 인재 교육에 힘썼다.

광무황제의 폐위, 군대 해산 등 국권이 식민지 상태에 이르자 다시 해외로 나가 의병을 일으켰고, 1908년에는 의군장이 되어 함경북도로 진입해 대일항전을 전개했다.

이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등지를 왕래하면서 구국의 길을 강구했고, 1909년 봄에는 김기열, 백낙길, 박근식 등 동지들과 함께 손가락을 잘라 단지동맹을 결성하기도 했다.

1909년 9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일제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가 하얼빈으로 온다는 소식을 듣고 우덕순 등과 함께 거사 계획을 세웠다.

의거 당일인 10월 26일 오전 9시 30분경 하얼빈역에서 러시아 군인들의 경례를 받으며 각국 영사들이 있는 곳으로 걸어가던 이토 히로부미를 쏘아 3발을 명중시켰다.

보훈처에 따르면, 러시아군에 의해 체포될 때 러시아말로 “코레아 우라(대한만세)”를 연호했다.

1909년 11월 러시아 헌병대에서 여순에 있는 일본 감옥으로 이송돼 심문과 재판을 받는 중에 일본의 부당한 침략행위를 공박하며 시정을 요구하고 조국의 완전 독립과 동양평화의 정착을 주장했다.

1910년 2월 14일 사형을 선고받은 후 1910년 3월 26일 순국했다.

정부는 의사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