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 신상윤> 사이버테러에도 미래부는 자리다툼중
국내 주요 방송사와 일부 금융사의 전산망이 동시에 마비되는 사태가 20일 발생했다.

방송사와 금융사의 고객인 국민들도 적지 않은 혼란을 겪었다. 특히 은행 이용자 중에는 송금이 되지 않아 물품대금을 제때 보내지 못했다든지, 심지어는 신용카드 대금을 결제하지 못해 자칫 신용불량자가 될 뻔한 경우도 있었다.

이렇듯 ‘3ㆍ20 사이버 테러’로 온 나라가 비상이었지만 한가한(?) 곳이 있었다. 바로 사이버 보안ㆍ정보 보호 등을 관장하게 될 미래창조과학부다.

관련업무가 미래부로 통합될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공무원들의 이번 사태 대응이 기민하고도 적절했는지 한번 물어보자.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는가.

미래부로 옮길 공무원들이 부처 출범 이후 주도권 다툼에 더 신경 쓰는 모습처럼 보였다면 기자의 오판일까?

최문기 미래부 장관 내정자의 임시 사무실이 있는 서울 수송동 코리안리빌딩에는 매일 아침이면 ‘보고’를 하려는 관련 부처 공무원들이 경쟁하듯 줄을 선다. 사이버 테러 다음날인 21일에도 관련 공무원들은 최 내정자 알현 줄서기가 우선인 듯한 인상이다.

최 내정자에 대한 일정ㆍ업무보고, 인사청문회자료 준비, 국회업무 준비 등을 서로 하겠다고 경쟁하고 있다. 이번 기회에 확실히 눈도장을 찍어둬 무주공산에 내 깃발부터 꽂자는 심산이다. 또 ‘제 사람’을 보다 많이 요직에 앉히겠다며 기싸움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금명간 통과되면 미래부는 본격적으로 업무를 시작한다. 관련 부처 공무원들이 침흘리는 보직은 기획조정실장과 창조경제기획관(국장급)이다. 기조실은 미래부의 살림과 인사를 책임지는 곳이고, 창조경제기획관실은 장관 직속으로 현 정부 핵심정책인 ‘창조경제’를 위해 과학기술-ICT(정보통신기술) 융합을 책임지는 전략 부서다.

지금이 이런 자리 쟁탈전에 몰두할 땐가. 사태의 원인을 찾고 분석해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도 부족할 시간에…. ‘창조경제’도 다 사이버 테러를 해결하고 난 뒤의 일이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