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이버 테러’ 온 나라 난리인데…미래부는 ‘자리 다툼’만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지난 20일 오후 국내 주요 방송사와 일부 금융사의 전산망이 동시에 마비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들 방송사와 금융사의 고객인 국민들도 혼란을 겪었다. 특히 이들 은행 이용자 중에는 송금이 되지 않아 물품 대금을 제때 못 낼 뻔 했다던지 심지어는 신용카드 결제 대금 등을 갚지 못해 자칫 신용불량자가 될 뻔 한 경우도 있었다.

‘3ㆍ20 사이버 테러’가 온 나라가 비상이었지만 박근혜 정부에서 향후 관련 업무(사이버 보안ㆍ정보보호)를 관장할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이에 대한 걱정을 찾기 어려워 보였다. 미래부로 통합될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공무원들은 부처 출범 후 닥칠 헤게모니 다툼에 더 신경쓰는 것 같았기 때문이었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 내정자의 임시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수송동 코리안리빌딩에는 매일 아침이면 최 내정자에게 보고를 하려는 관련 부처 공무원들이 경쟁하듯 줄을 선다고 전해진다. ‘사이버 테러’ 다음날인 21일에도 이들 부처 공무원들은 어김없이 최 내정자를 ‘알현’하러 나섰다는 후문이다.

최 내정자에 대한 ▷일정ㆍ업무 보고 ▷인사청문회 자료 준비 ▷국회 업무 준비 등을 서로 자신들이 하겠다고 나선다는 것이다. ‘최 내정자 모시기’를 통해 확실하게 눈도장을 찍은 후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는 대로 이르면 다음주 미래부가 출범했을 때 요직에 자리잡아 주도권을 잡겠다는 전략이다.

관련 부처들이 노리는 보직은 기획조정실장과 창조경제기획관(국장급)이다. 기조실은 미래부의 살림과 인사를 책임지는 곳이고, 창조경제기획관실은 장관 직속으로 현 정부 핵심정책인 ‘창조경제’를 위해 과학기술-ICT(정보통신기술) 융합을 책임지는 전략 부서다. ‘자기네 사람들’을 보다 많이 요직에 앉히겠다며 기싸움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이런 ‘자리 쟁탈전’에 연연할 때가 아니다. ‘창조경제’의 융합과 소통의 정신으로 머리를 맞대 ‘사이버 테러’의 원인을 진단하고, 재발하지 앉도록 대책을 숙의하기에도 시간이 모자라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