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해안포 기습도발땐 전투기동원 지휘본부까지 초토화”
軍 시나리오별 도발 대응책은…
4차 핵실험·GPS교란·해킹…
“北 도발땐 배이상 반격해 타격”
NLL 인근 해상 잠수정 감시 강화도



우리 군은 만에 하나 북한이 도발할 경우 북한의 도발 수준 이상의 반격을 가하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북한 도발에 대해 확전을 우려하는 한미연합사령부의 지침에 따라 신속히 대응하지 못했지만 앞으로는 가차없이 반격한다는 게 우리 군의 기본 방침이다.

군의 이 같은 강경대응 방침은 북한의 도발을 더 이상 묵과하거나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앞서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사태를 겪은 군은 이들 사건 이후 북의 도발이 있을 경우 ‘선 조치(반격) 후 보고하라’는 국방부 장관의 지침을 세운 바 있다. 군의 강경대응에는 오는 2015년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 회수를 앞두고 우리 군의 작전능력을 증명해 보이겠다는 결연한 의지도 담겨 있다. 전작권 회수에 앞서 올해부터 키리졸브 훈련 등 한ㆍ미 연합훈련도 사실상 우리 군이 주도하게 된다. 북한의 위협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군은 튼튼한 안보태세와 함께 단독 군 작전능력을 확실히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군은 북한이 연평도 포격 때와 같이 이번에도 역시 서해상에서 국지 도발을 하거나 4차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또 GPS 위성신호 교란이나 주요 관공서 홈페이지 해킹 등 사이버 테러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군 당국자는 “예측 가능한 북한의 도발 형태에 따라 시나리오별로 대응책을 마련해 두었다. 북한이 도발해 오면 그의 배 이상으로 반격해 타격을 입힌다는 게 군의 기본 입장”이라면서 “북한 군의 동향을 정밀 감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은 서해 5도나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북한이 해안포 등을 동원해 기습 도발할 경우 2함대사령부 내 전투함과 공군력을 동원해 최초 발포지점은 물론 작전지휘본부까지 초토화하는 화력을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최근 김정은 제1국방위원장이 연평도 포격도발 부대를 직접 시찰하는 등 동향을 고려하면 북측이 연평도 등 일부 도서를 기습 강점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이에 대비한 군 작전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2009년 2차 핵실험을 실시한 뒤 서해에서 교전을 일으킨 적이 있는 북한이 3차 핵실험에 이어 또다시 해상교전을 일으킬 가능성에도 대비해 구축함 등 상시 전투함 출격 태세도 마련해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군은 최근 NLL 인근 해상에서 북한 반잠수정 대동-2급이 활동 중인 것을 포착, 북의 동태를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

김수한 기자/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