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커버스토리] 정치판 휘저은 ‘스마트 정치’…국민과 ‘민낯’ 으로 소통하다
부적절 발언등 곤욕도 치렀지만
총선·대선 잇달아 겪으면서
스마트폰 정치와 한몸으로…



#1 “대선 패배 멘붕, 애니팡으로 이겨.”

전병헌 민주통합당 의원은 자타 공인 당내 ‘스마트 의원’으로 꼽힌다. 당 내에서 거의 맨 처음 스마트폰을 구입했고, 국회 최초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도 했다. 한국e스포츠협회장을 겸임 중인 전 의원은 스마트폰이 가장 고마웠을 때를 묻자 “애니팡 덕분에 대선 패배 멘붕 상태를 이겨낸 것”이라며 으쓱했다. 그는 “아이템을 쓰면 평균 30만점, 최고점은 70만점도 넘었다”고 자랑했다.



#2 ‘아이폰+갤노트’ 새누리 김희정의원

새누리당에선 부산 출신 김희정 의원이 자타 공인 ‘스마트 의원’이다. 김 의원은 19대 국회의원이 되기 전부터 이미 아이폰을 사용하는 등 스마트 기기에 높은 관심을 가졌고, 최근엔 갤럭시노트도 구매해 의정활동에 활용 중이다. 김 의원실 관계자는 “이동할 때에도 인터넷 검색과 기사 확인을 하신다. 활용이 많은 만큼 출근 전 배터리 100% 충전은 기본”이라고 전했다.



2010년 초부터 밀어닥친 대한민국의 스마트폰 열풍은 정치의 중심 서울 여의도의 국회도 그냥 지나치지 않았다. 이미 2010년 지방선거와 지난해 총선과 대선에서 스마트 미디어의 어마어마한 위력이 충분히 입증됐다. 이제 국회의원들은 식사를 할 때도, 저녁에 간단히 맥주를 마실 때도 손에선 스마트폰을 놓지 않는다. 당장 실시간으로 보좌관들로부터 보고를 받고, 사건의 진행 상황을 확인해야 하는 것이 의원들의 일상이다. 웬만한 업무도 이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통하면 시간과 거리 제한 없이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바쁜 일정 때문에 국민이나 유권자들과 직접 접촉할 기회가 제한될 때에도 스마트 미디어는 중요한 매개가 된다. 기존 미디어가 ‘화장한 얼굴’로 국민과 만난다면, 스마트 미디어를 통해서는 ‘민낯’으로 국민과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교감률도 높다.

의원들의 대표인 각 당의 원내대표들은 이미 오래 전에 스마트폰으로 갈아탔다.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가장 최신 기종인 삼성전자의 갤럭시S3 사용자다. 당에서 송출하는 메일을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인터넷에 접속해 포털에 실시간으로 기사를 검색한다.

박기춘 민주당 원내대표는 ‘장고’ 끝에 스마트 부락으로 이사한 경우다. 박 원내대표는 박지원 전 원내대표가 항상 스마트폰으로 트위터하는 모습을 곁에서 보면서 부러워했다고 한다. 그러다 큰 용기를 내서 구입했는데, 이제는 스마트폰 없이는 의정활동이 어려울 지경이라는 전언이다. 주로 사용하는 앱은 뉴스앱으로, 보좌관보다 더 빠르게 실시간 정보를 알려주는 것에 크게 만족한다고 한다. 트위터 활용도도 스마트폰 구입 후 높아졌다. 국회에 하얗게 눈이 내렸을 때, 석양의 모습이 아름다울 때, 박 원내대표는 직접 사진을 찍어 트위터에 올린다.

물론 스마트폰과 트위터 등 새로운 문물에 밝은 의원들에게 항상 좋은 결과만 있는 것은 아니다.

최재성 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10월 민주당 최고위 회의에서 책상 밑으로 애니팡을 하는 장면이 사진기자에게 포착되면서 사과해야 했다. 최 의원은 전병헌 의원과는 ‘하트’를 주고받는 사이로 전해진다. 당내 ‘트위터 전도사’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지난달 15일 취중 ‘트위터 욕설’이 도마위에 오르기도 했다. 청년비례대표 의원인 김광진 의원은 의원이 되기 전에 올렸던 부적절한 트윗이 논란이 돼 지난 대선 기간 동안 ‘근신’의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본인들은 ‘시범 케이스’가 돼 곤욕을 치렀다지만, 그래도 다른 스마트족 의원들에게는 ‘본보기’가 됐다는 의미도 있다.

스마트폰의 부작용 때문에 사용을 꺼려하는 경우도 없지는 않다. ‘도청’과 ‘위치 확인’ 등 사생활 노출 가능성과 보안문제 때문이다. 한 의원실 관계자는 “스마트폰의 경우 위치 추적이 거의 10m단위까지 된다. 도청을 하는 장면도 직접 본 적이 있다. 스마트폰으로 바꾸지 않을 계획”이라고 잘라 말했다. 의원실 보좌관의 경우 비밀 정보를 다루는 일이 많은데, 자칫 스마트폰이 단서가 돼 불필요한 정보가 유출될 것을 우려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미 ‘스마트’는 정치와 한몸이 됐다. 

홍석희 기자/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