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족위해 헌신하는 노인…내 모습과 겹쳐”
40년만에 무대 복귀 변희봉
원로배우 장민호 추모 공연
내달 1일 막올리는 ‘3월의 눈’서
희생적인 장오役 맹연습




“손 감독(손진책 국립극단 예술감독)을 만난 건 한 40년 전 연극할 때였죠. 67년인가 68년인가, 저는 연극을 한다고 다녔고 그때 손 감독은 무대감독이었어요. 순하고 말도 없고 조용한 분이었습니다.”

매스컴에서 서로를 만났을 뿐 변희봉(70)과 손진책 두 사람은 그 뒤로 수십년간 한 번도 마주친 적이 없었다. 1970년대 초 브라운관으로 스크린으로 자리를 옮기며 연기에 전념하느라 연극무대론 쉽게 돌아오기 힘들었다. 그런데 손 감독은 40년 만에 노배우를 다시 연극무대로 이끌었다. 연극 ‘3월의 눈’의 장오 역할이었다.

뜻밖의 연극무대, 이 노배우가 다시 무대에 선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 지난 25일 서울 용산구 국립극단에서 찻잔을 기울이며 조용히 그의 말을 들었다.

‘3월의 눈’은 지난해 11월 타계한 원로배우 장민호가 주인공 장오 역할로 마지막으로 무대에 섰던 작품이다. 특히 이번 공연은 작고한 그를 기리는 무대라 더욱 의미가 깊다. “장민호 선생님은 평생을 연극에 몸바치신 분이시고, 선생님이 작고하신 이후 제가 그 역할을 하는 것도 뜻있는 일이 아니겠습니까.”

 
40년 만에 무대 위에 선 변희봉. TV, 영화에서만 얼굴을 보이던 그가 손진책 예술감독 덕분에 오랜만에 연극 ‘3월의 눈’에서 장오 역을 맡았다. 극 중 장오와 이순의 삶은 지금을 사는 노년들을 맞이한 모든 사람들의 이야기다.                              [안훈 기자/rosedale@heraldcorp.com]

오랜만에 서는 무대이기도 하고 더구나 장오의 아내 이순 역을 맡은 사람은 선배인 원로배우 백성희 선생이다. 대선배가 했던 역할을 자신이 맡는다는 것도 부담이다.

작품으론 장민호 선생을 TV드라마에서 단 한 번 만났다는 변희봉. 오래된 탓에 기억도 흐릿하지만 그가 기억하는 장민호는 그저 대선배였다. “‘부자자효’란 TV드라마를 같이했어요. 아버지와 아들로 출연했죠. 80년대 초중반이었을 겁니다. 선생님은 강직하신 분이었고 그 어른 앞에 서면 고개가 숙여지는 무게감이 있었죠.”

젊었던 시절 그런 선배들의 라디오 드라마를 들으며 눈물을 흘렸고 배우가 되고 싶단 생각에 1965년 MBC 2기 공채 성우로 연기자 생활을 시작했다. 연극도 그해 시작했다. “차범석 선생님 작품인데 ‘지붕위의 고양이’란 연극이 있었습니다. MBC탤런트 1기생이었는데 한 배우가 펑크를 내서 대신한 것이 인연이 돼 몇 년 동안 극단 산하에서 연극을 했죠.” ‘대리인’ ‘왕교수의 직업’ ‘우리’ ‘노비문서’ 등에 출연했고 1970년대 초, TV를 시작하니 그 이후론 연극으로 발길을 돌리기가 힘들었다.

강산이 4번 바뀌어 선 무대. 세월은 흘렀고 무대도, 세상도 달라졌다. 변희봉은 한국전쟁 피란살이를 하고 지금껏 세월을 살아온 자신의 모습이 ‘3월의 눈’의 80대 노인 장오와 비슷하다 느낀다.

영화 ‘괴물’에서 단란한 가족의 할아버지로 나왔던 그는 ‘3월의 눈’에서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할아버지를 연기한다. 월남해 살다 생때같은 외아들을 잃고 그 대를 잇는 손자는 빚에 쫓기는 신세. 힘든 노년을 보내는 장오는 결국 증손자를 위해 고택을 팔고 요양원으로 들어간다. 가족은 생의 의지 그 자체다.

장오의 대사 중 “비워라, 다 비우고 가라”란 말이 가장 인상 깊었다는 변희봉. 40년 만에 다시 선 무대는 다음달 1일부터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에서 새롭게 펼쳐진다. 

문영규 기자/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