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난해 20代 고용률 50%대…청년실업 해결해야 고용률 70% 문 열듯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주취업 연령층인 20대의 고용률이 50%대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다음주 새로 출범하는 박근혜 정부가 고용률 목표치(70%)를 달성을 위해선 20대층의 실업문제를 우선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작년 청년층인 20∼29세 고용률은 58.1%였고, 이중 남성 57.3%, 여성 58.8%였다. 20대 고용률은 국민의 정부 말기인 2002년 61.3%에서 참여 정부 말기인 2007년 60.0%로 떨어진 데 이어 이명박 정부 말기인 작년에는 60%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20대 남성 고용률은 크게 떨어졌지만 여성 고용률은 다소 올랐다. 20대 남성 고용률은 2002년 65.2%에서 2007년 60.5%로 4.7%포인트 떨어졌고 작년에는 57.3%로 최근 5년 동안에는 3.2%포인트 하락했다. 20대 여성 고용률은 2002년 57.9%에서 2007년 59.6%로 소폭 올랐다가 현 정부에서 하락해 작년에는 58.8%에 그쳤다. 20대 여성 고용률은 2010년 58.3%로 남성 고용률(58.2%)을 앞지른 뒤 격차를 벌리고 있다.

고용률 70%(15~64세, OECD기준) 달성은 현실의 벽이 현재로선 높아 보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우리나라 고용률은 63%로 새정부 임기 내에 총 7%포인트를 올려야 한다는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선 5년간 연평균 1.2%포인트의 고용률 상승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최근 5년간 62~64% 사이에서 장기간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20대 고용률의 부진이 기인한 것이란 분석이다. 이미 30∼50대 고용률은 이미 70%를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30대 고용률이 72.7%, 40대 78.3%, 50대 72.2%였다. 60세 이상은 37.5%였다.

현재 상황에서 과거의 추이를 단순 반영한 전망은 박근혜 당선인의 임기가 끝나는 2017년에 약 66%의 고용률과 2380만명의 취업자 수가 예상된다. 그러나 70%가 되기 위해선 취업자수가 2530만명 정도가 돼야 한다. 이를 위해선 5년간 평균 50만명 정도 높은 폭의 취업자 증가가 필요한데, 최근 5년간 우리나라 취업자 증가수는 평균 24만9000명 수준에 그치고 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