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파트 미분양 '떨이 세일', 후폭풍
[헤럴드경제=윤현종 기자]미분양 아파트 세일의 후폭풍이 만만치 않다. 각 건설사와 시공주체들은 한 채를 더 계약할 경우 최고 500만원의 현금을 지급하거나, 분양가대비 최고 할인액 2억원 또는 최고 할인율 40%를 내거는 등 미분양 아파트 해소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계약자나 입주민들은 이같은 출혈성 세일 마케팅이 ‘뻥튀기 분양률’을 낳고 자산가치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며 집단 반발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입주 거부하는 계약자 “입주율 부풀렸다”=경기도 고양시 일산의 A 주상복합단지는 준공이 3개월가량 남았지만 총 2700가구중 초기계약자 1200여가구가 입주를 거부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다가구 계약자다.

A단지는 2009년 말 청약 개시 직후 미분양이 발생하자 이듬해 4월께 부터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다. ‘추가 계약하면 현금을 주겠다’며 기존 청약자들의 다가구 계약을 유도한 것. 이 단지 계약자인 이 모씨는 “분양대행사에서 ‘한 채 더’를 결정하면 현금 500만원을 통장에 바로 넣어주겠다는 전화가 수시로 왔다”고 전했다.

이 씨는 또 “유혹적인 마케팅에 넘어간 1차 책임이 우리에게 있는 건 맞다”면서도 “3년이 지난 현재 부동산 시세 하락으로 잔금납부 능력이 떨어지는 계약자가 다수지만, 시공사 측은 아무런 추가 지원책 없이 5월 준공을 강행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A단지의 조기 입주를 유도하기 위해 시공사가 분양률을 부풀렸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A단지 분양대행사의 한 관계자는 “시공사의 ‘90% 분양률’ 주장은 말도 안된다”며 “130㎡이하 중소형이 90%이상 분양된 것은 맞지만, 162㎡이상 1400여가구 분양률은 절반이하”라고 말했다.

그는 또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전체 가구의 10%정도는(실제 계약과 상관없이)시공사 임직원과 하청업체 직원들 명의로 잡혀있다”고 털어놨다. 시공을 맡은 B사는이같은 주장을 일축했다. B사 관계자는 “공식적인 분양률은 90%가 맞다”며 “임직원 계약분도 그들이 자의적으로 한 것일뿐”이라고 반박했다. 이 회사는 잔금납부 능력이 떨어지는 입주자에 대한 추가지원책을 준공 시점까지는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입주민 집값 하락 불만 ‘소송 진행중’= 서울 은평뉴타운의 경우 SH공사가 매입자들에게 최대 2억1000만원을 할인해 주는 등 세일 공세를 시작한지 49일만에 미분양 아파트 615가구를 완판했다. 하지만 분양 초기에 입주한 60여가구는 서울시와 SH공사를 상대로 ‘기대 수익 하락과 자산가치 감소에 따른 피해액을 보상하라’며 지난 24일께 정식으로 소송을 제기했다.

세일가격으로 주인을 찾은 미분양 아파트 615가구 가운데 95%가 조건부 전세다. 이는 곧 최장 4년까지 살다 때가 되면 나가도 좋다는 것이니, 사실상 분양을 가장한 임대”라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단지내 대형상가 ‘알파로스’의 분양이 5년째 지연돼 자산가치가 감소했고, 이 때문에 불필요한 미분양 세일을 야기했다며 모 법무법인 등을 통해 알파로스 분양 전-후의 감정평가 차액을 추산중이다. 이 금액 만큼의 배상액을 제기하겠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알파로스가 조기분양됐다면 가구별 자산가치가 9000만원은 상승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factis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