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류우익 통일, "북 HEU 핵무장 가능성"
류우익 통일부장관이 북한의 고농축우라늄(HEU) 핵무장 가능성을 사실상 시인했다. 플루토늄과 달리 HEU는 북한 내부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북한이 실험에 성공하면 정치적ㆍ전략적 차원을 넘어, 실질적ㆍ전술적 차원의 핵무장 단계로 접어든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은 4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자리에서 북한의 제3차 핵실험 가능성과 관련, “지금까지 상황을 보면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핵실험이 HEU 프로그램의 일환이라는 일각의 관측에도 “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이번 핵실험의 목적이 HEU를 통한 무장에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 것이다. 북한의 핵무기 제조능력에 대해서도 “몇 개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핵실험에 따른 대북제재의 강도도 상당히 높을 것임을 내비쳤다. 윤상현 새누리당 의원이 북한의 3차 핵실험이 ‘김씨 왕조’의 몰락을 재촉할 수 있느냐고 질문하자 “핵실험을 함으로써 대내외적으로 더 어려운 여건에 처할 것이므로 가능성을 열어놓는 게 옳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이 핵무기 개발 또는 실용화에 가까이 갈수록 국제사회로부터 더 강한 제재를 받을 것이라는 점, 한정된 자원을 핵개발에 투입함으로써 북한의 민생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도 강력한 제재 방침을 재확인했다. 김 장관은 이날 외통위 회의에 출석해 북한의 3차 핵실험이 현실화될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유추하면 금융제재, 의심화물 선박에 대한 검색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소개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존 케리 미국 국무부장관과 전화통화를 갖고 추가 대북제제 방안을 포함해 한반도 현안을 논의했다.

한편 외교부 관계자는 “한미 외교장관은 임박한 북한 핵실험과 관련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결의는 물론이고 한미 정부 차원의 추가조치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미국 국무부 관계자도 양국 장관 통화 뒤, “미국은 북한의 동향을 면밀하게 감시하고 있으며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신대원 기자/shni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