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전 세계 ‘제조업 살리기’ 올인 … 한국만 낙오하나
[헤럴드경제=홍승완 기자] 우리나라의 제조업에 대한 설비투자는 3년 연속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 제조기업들의 설비투자는 더욱 위축되고 있다. 외국이 글로벌 경기 침체를 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제조업 살리기에 나서는 것과 대비된다.

3일 한국정책금융공사에 따르면 제조업 부문 대기업의 설비투자 금액은 지난해 61조6135억원에서 올해 59조3157억원으로 3.7% 감소할 전망이다. 중소 제조기업의 설비투자 현실은 더욱 심각하다. 지난해 5조6733억원이던 설비투자 규모는 올해 19.4% 줄어든 4조5740억원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표 수출업종인 반도체와 자동차의 올해 설비투자 전망이 어둡다.

지난 해 19조1188억원이던 반도체 부문 대기업의 설비투자액은 올해 15조345억원으로 21.4% 급감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의 대기업 설비투자액은 지난해 4조322억원에서 올해 3조6974억원, 중소기업은 작년 1조1121억원에서 올해 9천819억원으로 추락할 것으로 봤다.

철강도 1차 철강 기준으로 작년 총 7조745억원이던 설비투자 규모가 올해는 6조천350억원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제조업체들에게 설비투자를 망설이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설비투자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세계 경기가 회복되어야 하지만, 제조업 설비투자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 정책지원도 필요성도 강조한다.

실제로 해외 각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재조업 강화를 위한 각종 조치들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16년까지 제조업 일자리 100만개를 창출하겠다고 공약하고 이를 위해 법인세 감면, 해외이전 감세 폐지와 국내이전 세제 혜택, 근로자 200만명 기술훈련, 제조업 연구기관 15개 이상 설립 등의 정책을 제시했다.

유로존 재정위기를 겪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도 작년 10월 제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기존 16%에서 2020년까지 20%로 높인다는 내용의 신(新)산업정책을 마련했다. 프랑스의 경우는 국내기업의 국외진출을 막기위해 자국 기업이 본사나 자회사를 외국으로 이전할 때 5년 동안 ‘출구세(exit tax)’를 부과하기로 했다.

신흥국들도 제조업 활성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글로벌 제조업체 유치에 적극적이다. 임금 상승과 위안화 강세로 글로벌 제조업체들이 중국을 떠나기 시작하자 캄보디아,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들이 노동집약적 경공업 투자를 유치하려고 경제특구를 설치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