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ㆍ야, 女임원 비율 의무확대법 추진=여야는 지난달 13일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등 공공부문에서의 여성 임원 비율 확대 추진을 위해 관련법 개정안을 국회에 공동 제출했다. 개정안은 기획재정부 장관이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의 여성 임원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면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은 연차별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이행해 여성의 고위직 진출을 제도적으로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특정 성별이 3년 이내에 100분의 85 이상, 5년 이내에 100분의 70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규제 조항을 담고 있다.
▶女임원 9.1% 불과= 현재는 공공기관 임원 중 여성 비율이 9.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들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정부 산하공공기관 288곳의 임원 2993명 중 여성은 9.1%인 272명이었다. 공공기관 중 51.7%인 149곳은 여성임원이 단 한 명도 없었다.
공공기관 288곳 중 여성이 기관장(長)인 곳은 5.6%인 16곳에 그쳤다. 최정임 문화체육관관광부 산하 명동ㆍ정동극장 극장장, 김선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 손지애 국제방송교류재단 사장, 박선이 영상물등급위원회 위원장, 박재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 등 문화예술 분야에 5명의 여성 기관장이 있다. 또 유중근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 4명, 이경숙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등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공공기관 3명, 국무총리실 산하 공공기관 3명, 지식경제부 산하 공공기관 1명 등의 여성 기관장이 있다.
(왼쪽부터) 국제방송교류단 손지애 사장, 정동극장 최정임 극장장,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김선득 사장, 영상물등급 위원회 박선이 위원장 |
▶‘경력단절’ 한계 넘을까= 공공기관에 여성 고위직이 적은 것은 조직문화가 남성 중심적이고 보수적인 데다 출산ㆍ육아 등의 부담으로 경력 단절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내부 승진을 통한 임원 승진이 어려워 여성임원들은 상당수 외부에서 영입된 인사들이다. 우리 사회에서 아기를 낳거나 기르는 것은 아직도 여성 몫이 경우가 많고 이럴 때마다 회사를 그만두거나 휴직을 하는 여성이 적지 않다. 동일한 공공기관이나 기업에서 오랜 시간 경력을 쌓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고학력 여성이 사회에 진출한 시기가 남성보다는 오래되지 않아 고위직까지 진출한 비율이 낮은 측면도 있다.
강우란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여성 고학력자가 많이 나온 것이 20년밖에 되지 않는다”며 “아직 여성 수가 굉장히 적지만 최근 입사자들 사이에서 여성 비율이 높아지는 만큼 앞으로 더 많은 여성 임원이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인력수급ㆍ반발최소화 과제=개정안이 시행되더라도 여성임원 수가 늘려나려면 일정 시간 소요가 불가피해 보인다. 민간기업처럼 성과를 통해 파격 인사를 시행하는 것과 달리 공공기관은 경력을 쌓아야 임원으로 선임하는 관례를 따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아직은 공공기관에 임원으로 승진할 수 있는 여성 후보들이 많지 않다. 또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로 승진 대상에 포함되는 경우 반발이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조직내 이해도를 높이는 것도 필요하다는 관측이다.
gil@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