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호금융 여ㆍ수신 급증 ‘제 2 저축은행 사태’ 우려 ...감사원 긴급 감사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은행권을 이탈한 자금들이 상호금융권으로 대거 몰리고 부실대출 규모도 크게 늘면서 ‘제 2 저축은행 사태’를 우려한 감사원이 긴급 감사에 나서기로 했다.

24일 금융당국과 한국은행, 상호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수신잔액은 91조4000억원으로 2011년 말 79조1000억원보다 15.5% 늘었다. 신협은 43조3000억원에서 48조6000억원으로 12.0%, 상호금융은 226조5000억원에서 241조9000억원으로 6.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은행 총예금 잔액은 3.4%, 저축성 예금잔액은 4.5%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많게는 4배 가까운 성장세다.

서민금융기관 예탁금의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이 3년 연장되고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확대돼 고액자산가의 돈이 상호금융권으로 몰려 올해도 높은 증가율이 예상된다.

대출도 심상치 않다.

금융감독원 집계로는 지난해 6월 말 기준 상호금융권의 경락률(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 초과대출 규모는 6조1000억원이다. 은행 5조6000억원, 저축은행ㆍ보험 50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 3000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경락률을 초과해 돈을 빌렸다는 건 경매로 집을 팔아도 대출금 일부를 갚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하우스푸어(내집빈곤층)와 저신용층 대출이 많은 탓에 연체율이 꾸준히 올랐다.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2011년 말 2.74%에서 지난해 말 3.31%로 상승했다. 신협의연체율은 6%대에 달한다.

상호금융업계의 여ㆍ수신 모두 위험 징후를 보이자 무더기 퇴출사태를 빚은 저축은행업계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위 등이 관찰을 강화하고 대출 제한을 추진키로 한 데 이어 급기야 감사원까지 나섰다.

감사원은 올해 감사계획에 상호금융 감사를 포함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시기와 범위를 조율하고 있다.

감사원 관계자는 “가계부채를 비롯해 상호금융권과 관련된 문제가 자주 언급돼 점검 차원에서 감사에 착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며 “조만간 구체적인 내용이 확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업계는 지난해 수신 증가세가 가팔랐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기저효과 등을 고려하면 평년 수준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신협 관계자는 “2010년 20.4%에 달했던 증가세가 2011년 대량 예금인출 사태 이후 3.5%로 떨어졌다”며 “올해 증가 폭이 커 보이는 것은 지난해 대폭 둔화한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