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휴대전화 가입비 폐지, 소비자 반응 ‘냉랭’…왜?
[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가계통신비 부담을 덜기 위한 방안으로 이동통신 가입비 폐지 등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소비자들은 대체로 시큰둥한 반응이다. 

10일 방통위와 통신업계 등에 따르면 방통위는 오는 16일 인수위에 휴대전화 가입비 폐지·서비스 경쟁 활성화 등을 골자로 하는 통신비 인하 방안을 보고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대선 공약에서 “데이터서비스 이용 확대 및 고가 스마트 폰 위주의 유통으로 통신비용 부담이 증가해 지난 2011년 가계지출의 5.8%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박 당선인은 이에 대한 세부 공약으로 이동통신 가입비 폐지를 비롯해, 요금인가 과정 공개, 데이터 기반 요금제 실현 등을 내걸기도 했다.

방통위의 휴대전화 가입비 폐지 움직임에 이통사들은 볼멘 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 SK텔레콤은 3만9600원, LG유플러스 3만3000원, KT 2만4000원 등의 가입비를 받고 있다. 이들 이통사들의 가입비 수익은 연간 3000~4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들의 반응도 미적지근하다. 가입비 폐지는 휴대전화 신규 가입이나 번호이동의 경우 외에는 체감 혜택이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미 상당수 대리점에서는 보조금 형태로 가입비를 면제해주고 있다. 누리꾼들은 “가입비 뿐 아니라 사용요금 자체를 내려야죠”, “통신사 옮기는 거야 몇 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한 일인데 무슨 의미가 있나”, “통신 요금도 요금이지만 기본료 자체를 낮춰야지. 예전처럼 1000원 내리고 생색내지 말고…”라는 등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또 통신 요금보다 단말기 값 자체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많은 만큼, 이에 대한 대책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방통위는 단말기 유통경로 다변화, 저가형 스마트폰 보급 확대 등도 고심 중이나 아직 구체적인 방안은 알려진 바 없다. 한 누리꾼(@jjw****)은 “통신비보다는 기계값이 높아 기계값을 내려줘야 하는데 맥점을 잘못 짚음. 구글 30~40만 원 스마트폰이 왜 우리나라에선 출시되지 않나”라고 꼬집었다.

h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