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쌍용차 복직…1374일의 기록 ‘철탑농성ㆍ희망텐트ㆍ23명의 사망자’
[헤럴드생생뉴스]1374일의 일기는 마침내 끝이 났다. 지난 2009년 전체 인력의 37%에 해당하는 2646명의 대량 해고로 쌍용차 사태가 촉발된지 1374일 만에 무급휴직자 전원복직에 노사가 합의하며 455명이 회사로 돌아가게 됐다.

쌍용차 사태 이후 그 긴날들 동안 많은 기록을 남겼다.

지난 1374일 동안 생활고와 건강 악화 등으로 23명이 숨졌다. 특히 이들을 포함해 이번 복직 대상에서 고려되지 않은 희망퇴직자와 정리해고자들은그동안 극심한 생활고와 이에 따른 우울증, 건강악화 등에 시달렸다.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에 따르면 쌍용차 사태 이후 현재까지 23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건강이 악화돼 숨졌다. 두 달에 한 명 꼴이었다. 2009년 5월 첫 조합원이 숨진 이후로다.

2010년 4월에는 사측으로부터 1년 뒤 복직을 약속받았던 무급휴직자 임모(44)씨의 아내가 남편의 휴직이 길어지면서 생활고와 우울증에 시달리다 집 베란다에서 투신했고, 10개월 뒤 임씨도 카드빚 150만원과 통장 잔고 4만원을 남긴 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지난해 10월 사측으로부터 회망퇴직을 강요받아 퇴직한 뒤 당뇨로 투병하던 한모(55)씨는 무급휴직자 전원 복직을 3개월여 앞둔 지난해 10월 합병증으로 숨져 23번째로 이름을 남겼다.

그들의 농성은 외로운 싸움이었다. 사측이 대량해고를 통보한 뒤부터 지금까지가 그랬다. 김남섭 금속노조 쌍용차 사무국장은 그들의 싸운에 대해 “한진중공업 사태 때는 크레인에 올라간 김진숙씨를 살리자는 공감대가 있었는데 쌍용차 문제에는 그런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아 세상에 우리만 남은 기분”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들의 외로운 농성의 시간들을 살펴보면, 문기주 금속노조 쌍용차 정비지회장 등 3명은 지난해 11월20일부터 쌍용차 평택공장 앞 송전탑에서 현재까지 52일째 농성 중이다.

한진중공업 사태 당시 관심을 모은 ‘희망버스’를 빗대 2011년 12월부터 평택공장 앞에서 ‘희망텐트’를 치고 농성을 이어가기도 했다.

서울 중구 정동 대한문 앞에는 정리해고 통보를 받은 노조원들이 농성촌을 만들었고, 지난해 12월 중구청의 철거 집행 예고로 농성촌이 철거될 위기에 처했던 이들은 무급휴직자 전원이 복직하게 됐다는 소식에 이제야 기쁨과 아쉬운 마음을 비칠 수 있게 됐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