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긴장하는 금감원…인수위서 배제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박근혜 정부의 조직개편안이 이르면 다음 주 후반 공개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개편 물망에 오르내리는 부처들의 심정은 그야말로 좌불안석, 전전긍긍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으로 제시한 정부 조직개편안에 따라 존폐 기로에 놓인 곳과 업무보고 순위에서 후순위로 밀리거나 아예 빠진 곳은 저마다 계산기를 두드리며 인수위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금감원은 인수위 정부부처 업무보고에서 배제됐다. 엄밀히 따지면 금감원은 민간조직이여서 업무보고 대상은 아니다. 그러나 금융감독정책을 집행하는 유일한 기관으로, 인수위에서 제외되는 것은 의외다. 

금감원은 인수위 업무보고에 대비해 박 당선인의 가계부채 핵심 공약인 ‘국민행복기금 18조원 조성 및 추진 계획’이 담긴 보고서도 만들었지만 박 당선인의 측근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인수위에 전문위원은 고사하고 실무위원도 파견하지 못했다.

반면 금융위는 서열 ‘넘버3’인 정은보 사무처장을 인수위 전문위원으로 내보냈다. 오는 15일에는 업무보고 일정도 잡혔다. 인수위 출범과 동시에 비공식 업무보고도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위는 뜨고 금감원은 졌다”면서 “비리와 불법, 부실로 얼룩진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 등에 대한 무언의 경고”라고 말했다.

구조조정 1순위로 꼽히는 특임장관실은 애써 담담한 표정을 유지하며 마지막 기대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분위기다.

특임장관실 관계자는 10일 “인수위에서 아직 조직개편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업무보고에서 개청 이후 성과와 역할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면 인수위에서 잘 검토하고 판단해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임장관실은 17일 예정된 업무보고에서 국회와 시민단체를 상대로 한 소통확대와 국정활동 지원이라는 측면을 중점적으로 부각시킨다는 계획이다.

특임장관실과 함께 이명박 정부의 상징성이 큰 국민권익위원회도 어수선한 분위기다.

현 정부 출범과 함께 국민고충처리위원회와 국가청렴위원회, 행정심판위원회가 통합된 권익위에 대해서는 이질적 기능의 어색한 결합이라는 이유로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국제사회도 부패방지 전담 기구의 독립을 권고하고 있다.

권익위는 자신들의 역할과 활동이 박 당선인 국정철학에 부합된다며 존속돼야한다는 입장이다. 권익위 관계자는 “권익위야말로 민원해결과 제도개선, 부패방지 등을 통해 국민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손톱 밑의 아픈 가시를 빼주는 역할을 하는 곳”이라며 “국민의 아픔을 보듬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대원·최진성 기자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