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선진국 신용등급 강등되면 한국에 직격탄
[헤럴드경제=이자영 기자]미국ㆍ영국ㆍ일본은 세계 3대 경제권인 북미ㆍ유럽ㆍ아시아의 선두에 위치한 대표 국가들이다.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부정적’ 등급 전망을 받은 이들이 차후적으로 신용등급까지 강등된다면 한국 금융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증시 전문가들은 주요국의 신용등급 강등은 금융시장 뿐 아니라 실물경제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삼성증권 이승훈 선임연구원은 “신용등급 조정은 간접적으로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 신용등급 조정으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자산 가치가 줄어들면서 소비ㆍ투자심리가 위축돼 실물경제가 타격을 입는다”고 설명했다.

미국, 영국, 일본 3국이 ‘부정적’ 등급전망을 받은 공통적인 원인은 재정건전성 악화지만, 세 나라의 신용등급 강등이 현실화됐을 때 국내 경제에 끼치는 여파는 저마다 다르다.

일본의 신용등급 하락은 우선 환율에 영향을 준다. 신용등급 하락으로 엔화 약세가 지속되면 국내 기업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미국과 영국의 신용등급 하락은 한국 뿐 아니라 전세계 금융시장을 출렁이게 할 가능성이 높다. 주식과 채권, 외환시장이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신용평가사들은 미국에 재정절벽 협상 뿐 아니라 재정건전성 개선을 위한 추가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영국은 유로존에 포함되지 않지만 유로존에 교역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따라서 유로존 긴축정책의 영향으로 영국이 경제성장을 멈추고 신용등급마저 하락한다면 유로존 긴축에 따른 저성장 리스크가 도마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스페인과 이탈리아 등 유로존 국가들의 신용등급 추가 강등 가능성도 존재한다. 독일과 아일랜드를 제외한 상당수 국가가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갈 예정이고, 특히 ‘부정적’ 등급전망을 받은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신용등급 조정 가능성이 높다.

한편 아시아 신흥국들은 신용전망이 대체로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등급이 추가 상향될 가능성은 적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김윤선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아시아 신흥국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경제 수요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서 불확실한 대외여건을 감안하면 추가로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지는 않다”고 진단했다.

nointeres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