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년 노령화 증가폭 사상최대…급속 늙어가는 대한민국
지수 77.9 기록…전년보다 5.1P 증가
대한민국의 노화(老化)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다. 고령화 정도를 보여주는 노령화지수(Aging Index) 증가율이 지난해 사상 최대폭을 기록했다.

의료기술 발달 등에 따라 평균 수명이 높아졌고, 저출산 문제 심화로 상대적으로 유년층 비율까지 감소하면서 인구 구조의 노령화에 점차 가속도가 붙고 있는 상황이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노령화지수는 77.9로 1년 만에 5.1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를 시작한 1960년 이래로 가장 높게 증가한 수치다. 2011년까지의 평균 증가폭(2.4포인트)과 비교해보면 상승률이 2배 이상 높다. 


노령화지수란 14세 이하 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령인구의 비율로 유년인구 대비 고령층의 상대 규모를 나타내주는 지표다. 1960년 처음 조사 때 6.9에 그쳤던 이 지수는 1978년 처음 10선을 넘었고 2011년에 70선을 돌파함에 따라 현재는 52년 만에 지수 규모가 11배가 넘는 수준으로 대폭 증가했다.

노령화지수가 높아진다는 것은 장래에 생산연령에 유입될 인구에 비해 부양해야 할 노년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갈수록 경제활동가능 인구가 줄어 사회 전체적으로 일할 사람이 적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지난해 노년 부양비율(생산가능 인구 100명당 고령 인구 수)도 16.1%를 기록, 2011년보다 0.5%포인트 증가했고 유년 부양비율은 0.7%포인트(21.4%→20.7%) 감소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령인구가 지난 2000년을 기점으로 총인구의 7%를 상회,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돌입했고 2022년에는 14%를 넘어 ‘고령 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할 전망이다.

서경원 기자/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