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朴당선인, 새누리당 ‘평당원’으로 당적 유지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새누리당의 평당원으로남게 됐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30일 “박 당선인이 대통령 당선인 신분이 되면서 새누리당 평당원이 됐다”고 밝혔다. 이는 대통령 당선인과 대통령은 당직을 겸할 수 없도록 규정한 새누리당 당헌에 따른 것이다.

새누리당은 지난 2002년 5월 한나라당 시절 당헌 개정을 통해 ‘대통령에 당선된 당원은 그 임기동안은 명예직 이외의 당직을 겸임할 수 없다’는 내용의 대통령 당직겸임금지 조항을 신설했다. 이 조항은 박 당선인의 ‘정치쇄신’ 주장이 반영된 결과물이기도 하다.

박 당선인은 지난 2002년 한나라당 부총재로 있으면서 ‘1인 지배체제’, ‘제왕적총재’ 타파를 주장하면서 당시 이회창 총재를 향해 대선 전 총재직 폐지, 상향식 공천제도 도입 등을 요구했었다.

당시 박 당선인은 자신의 주장이 관철되지 않자 2002년 2월 탈당했고, 그 이후 대통령의 당직 겸임금지 조항이 만들어졌다. 새누리당 한 관계자는 “박 당선인이 2002년 당시 대통령의 당직 겸임금지 조항을 구체적으로 요구하지는 않았지만 당헌 개정에 적잖은 영향을 미친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제왕적 총재’에 강한 거부감을 보여온 박 당선인으로서는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평당원’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명박 정권 탄생 이후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당정 일체’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대통령의 당직 겸임금지 조항을 폐지하거나 대통령이 당 상임고문을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바 있다. 하지만 ‘당권ㆍ대권은 분리돼야 한다’는 여론을 압도하지는 못했다. 이 때문에 이명박 대통령도 당선 이후 줄곧 평당원에 머물러왔다.

이에 앞서 김영삼 전 대통령은 대통령 재임 시절 당 총재직을 유지하다 1997년 9월 총재직을 이양한 데 이어 같은 해 11월 탈당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역시 당 총재로 있다 2001년 11월 민주당 쇄신파동이 불거지면서 총재직에서 물러난 뒤 이듬해 5월 탈당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에 잇달아 당적을 뒀지만 두차례 모두 평당원으로 있었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