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온라인 음원 사이트 차트 추천 제도는 사실상 낙하산”
주요 온라인 음원 사이트마다 차트 1위 곡 위에 자리 잡은 추천곡. 이 같은 음원 추천이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시장의 질서를 왜곡시키고 있단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광식)는 27일 서울 용산구 동자동 한국저작권위원회 교육연수원에서 ‘디지털 음원차트 공정성에 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김민용 경희대 교수 팀은 5대 주요 온라인 음원 사이트(멜론ㆍ엠넷ㆍ벅스ㆍ올레ㆍ소리바다)를 대상으로 지난 11월 8일부터 12월 8일까지 매일 2회에 걸쳐 차트 100위권 내 곡을 추적 분석한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시스템에 있어 추천시스템의 구조 분석과 파급효과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김 교수는 “주요 음원 사이트들이 모두 차트에 추천곡을 표시하는데, 이들 추천곡이 차트 1위 음원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자리 잡는다”며 “추천곡은 평균적으로 2주 동안 20~30위를 유지하는 반면, 비추천곡은 평균 1주 이내에 50위권 밖으로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김 교수는 “특정 음원이 차트 최상위에 위치해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지면, 소비자에게 해당 음원의 인기가 높다는 잘못된 인식을 줄 수 있다”며 “추천 제도는 사실상 낙하산이나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요 음원 사이트 대부분이 자사 관련 유통 곡들을 추천곡에 많이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례로 멜론의 추천곡 중 로엔의 비중은 56%, 엠넷의 경우 CJ E&M이 40%, 벅스의 경우 네오위즈인터넷이 76%, 올레뮤직의 경우 KT뮤직이 35%를 차지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부작용의 원인으로 정액제와 무제한 스트리밍 등 현행 디지털 음원 소비 성향을 꼽았다. 음원 소비자 상당수가 정액제와 무제한 스트리밍을 통해 부담 없이 저가에 음원을 구입하기 때문에 추천, 급상승 아이콘 등 음악적 완성도와 무관한 정보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주장이다.

김 교수는 “연구 결과는 음원 소비자들이 디지털 음원을 잘못 구매해도 위험부담이 없는 ‘저가의 저관여 제품’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추천은 차트가 아닌 곳에서만 허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주관으로 운영되는 ‘가온차트’를 개선해 공정한 차트로 만들어 나가겠단 방침이다.

정진영 기자/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