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드명=서민’…박근혜 정부 경제정책 이렇게 시작한다
[헤럴드경제=윤정식 기자]박근혜 정부 초기 경제정책의 핵심은 서민안정대책이다. 일각에서는 자본주의의 단점을 보완하는 ‘따뜻한 자본주의’, 이른바 ‘한국판 자본주의 4.0’이라고도 부른다.

27일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2013년도 경제정책 방향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부분을 서민생활안정과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다시 크게 시장구조 개선, 고용시장 활성화, 실현가능한 복지확대, 중소기업 지원 정책 등 4가지로 나뉜다.

▶복지는 실현가능하게= 대선 과정에서 각 후보들의 가장 뜨거운 감자 공약이었던 누리과정은 현재 만 5세 아동부터 적용되는 것을 만 3~4세아로 확대하고 정부지원 대상은 기존 하위 70%까지였던 것을 전계층으로 확대한다. 이원화되었던 유아의 교육ㆍ보육과정은 ‘국가 표준교육과정’으로 일원화한다. 재원은 교육교부금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무주택 서민들을 위한 집구입ㆍ전세 지원금은 금년보다 1조5000억원이 확대된 총 7조65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기초수급자가 재기에 성공, 근로ㆍ사업소득 증가로 수급대상에서 벗어나도 의료와 교육급여에 대해서는 정부가 2년 동안 이행급여를 지원한다. 지원대상도 올해 6000가구에서 내년 1만가구로 확대해 근로 유인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소규모사업장 저임금근로자의 사회보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위해 국민연금과 고용보험료의 일부를 지원, 이들의 노후가 무방비상태가 되지 않게 준비를 유도한다.

▶고용시장 띄운다= 정부는 내년부터 청년을 채용하는 중소기업에 인턴기간 6개월 동안은 임금의 50%(최대 80만원), 정규직으로 전환하면 7개월후부터 6개월분의 임금(월 65만원)을 지원해준다.

또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 추가공제금액을 산정할때 우대되는 청년근로자의 범위를 군 복무기간까지 확대한다. 구직시 군 복무로 인한 불이익을 최소화하겠다는 의도다.

중장년층와 여성에 대한의 일자리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베이비붐세대 퇴직자를 인턴으로 채용한 중소기업에는 4개월동안 임금의 50%(80만원 한도)를 지원하고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을 위한 새일센터 지정을 확대한다. 육아휴직ㆍ출산전후 휴가급여 등의 지원 확대도 함께 추진된다.

▶시장구조개선, 유통부터 개선= 정부는 내년 1분기까지 전기료, 수도요금, 대중교통비, 등 공공요금 산정기준 개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모호했던 규제ㆍ비규제 사업에 대한 구분 기준을 명확히하고 적정원가ㆍ적정투자보수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 보다 합리적인 공공요금 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

서민생활과 가장 밀접한 농산물과 관련해서는 수급안정을 위해 6215억원의 예산을 들여 가격변동성이 큰 배추와 마늘, 고추 등에 대한 비축을 확대한다. 또 새로운 농산물 직거래 방식인 ‘생산자-소비자간 공동농업방식(CSA)의 확산으로 생산자 소득 증대와 소비자가격안정을 동시에 도모한다는 전략도 마련했다.

알뜰주유소로 대표되는 정부의 석유시장 유통개선 정책은 내년에도 유지ㆍ강화한다. 특히 대형 주유소들에게 전자상거래 시장 구입을 유도하기 위해 구입자금 대출시스템 구축은 물론 계약변경을 통한 혼합판매도 추진한다.

소비자보호원을 통해 시장에 뿌리내린 컨슈머리포트(비교ㆍ공감)의 칼날은 내구재와 서비스 상품으로까지 확대하고 일정규모 이상의 음식점(150㎡)과 이미용실(66㎡)는 옥외가격표시제를 의무화한다.

▶건강한 중소기업 토대 만들기= 건강한 중소기업들의 토양을 만들기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여기서 진단, 처방, 치유 방식의 건강검진시스템을 도입해 문제가 있을 경우 체질 개선을 유도한다.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자금도 올해 4250억원이었던 것을 내년 7500억원으로 대폭 확대하는 등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한 보증한도가 상향조정된다.

개인이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가 이뤄질 경우 투자금액에 대한 소득공제율을 20%였던 것을 30%로 확대해, 벤처기업들의 자금난을 해소하고 동시에 일자리 창출도 지원한다.

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