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역대 초대 총리로 본 차기 정부 초대 총리는?
〔헤럴드경제=조민선ㆍ손미정 기자〕박근혜 정권에서 인사 키워드는 대탕평과 전문성에 모아지고 있다. 실용주의를 표방한 이명박 정부나, 국민참여를 표방한 노무현 정부,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의 김대중 정부와는 180도 다른 시각에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초대 내각을 꾸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캠프에 참여했던 한 인사는 24일 “인수위원장과 초대 총리는 향후 5년의 정책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리트머스지(紙)’라는 점에서 인선에 시간이 걸릴 수 뿐이 없다”면서도 “역대 정부 출범 당시와 마찬가지로 이번 정부 역시 박 당선인이 그간 줄곧 강조했던 부분에서 인선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역대 정부 출범 당시 인수위원장과 초대 총리를 누구로 앉혔느냐와 박심(朴心)간 교집합 부분이 인수위원장과 초대 총리 인선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2007년 ‘실용’을 최우선 기조로 내세웠던 이명박 대통령은 인수위원장에 최고경영자(CEO)형 대학총장인 이경숙 당시 숙명여대 총장을 내세웠다. 이 총장은 4번이나 직선 총장에 당선되면서 13년 동안 1000억원의 학교발전기금을 모금하는 등 경영수완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었다. 이 대통령은 또 초대 총리에는 전문가형이면서 박 당선인의 이종사촌 형부이기도 한 한승수 당시 유엔 기후변화특사를 기용했다. 선거 운동 기간 내내 ‘경제 대통령’을 주장한 것과 마찬가지로 초대 인선에서도 이(李)코노믹스에 방점을 찍은 셈이다.

탈권위와 국민참여를 표방했던 노무현 정부의 초기 인사 정책은 ‘몽돌과 받침대론’으로 통한다. 노 전 대통령은 민주당 소속 중진인 임채정 정책위의장을 인수위원장으로, 김진표 당시 국무조정실장을 부위원장으로 선택해 균형을 꾀했다. 특히 초대 총리에는 고건 전 총리를 초대 총리로 내세워 급작스런 개혁에 대한 반대파의 불안감을 잠재우려 했다.

DJP연합으로 정권을 잡았던 김대중 전 대통령은 초대 총리로 자신의 파트너였던 김종필 전 자민련 명예총재를 내세웠으면, 인수위 인선도 대거 김 전 명예총재의 인맥을 기용했다. 역대 정부의 초대 인수위원장과 초대 총리 모두 대통령 당선자가 줄곧 주장했던 정책철학에서 출발한 셈이다.

박 당선인은 줄곧 인사 키워드로 대탕평과 능력을 내세웠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초대 총리와 인수위원장 역시 이같은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정우택 최고위원이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인사적인 측면에서) 당선인께서도 대탕평이라는 대원칙을 제시했고, 그에 걸맞는 능력과 식견을 갖운 인물을 선정하는 인사가 이번에 첫 단추에서 잘 꿰지길 기원한다”고 말한 것도 이와 맥을 같이한다.

당 안팎에서 초대 총리와 인수위원장으로 하마평에 오르는 인물들도 모두 ‘대탕평’과 ‘능력’, 여기에 박 당선인의 공약에 대한 충분한 이해도를 갖춘 인물들로 모아지고 있다.

전북 출신의 정갑영 연세대 총장, 광주 출신의 김윤수 전 전남대 총장을 비롯해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한광옥 국민대통합위 수석부위원장, 진념 전 경제부총리, 한덕수 한국무역협회장,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 야당 의원을 지낸 강봉균 전 재정부 장관 등이 거명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박 당선인이 또 김종인 위원장과 한광옥 수석부위원장, 안대희 정치쇄신특위위원장 등의 영입을 통해 파격적이면서도 자기 진영은 아니지만 전문가적 식견을 갖춘 인물을 중용해왔다는 점에서 박상증 전 참여연대 공동대표, 송호근 서울대 교수, 안대희 위원장 등도 모두 인수위원장과 초대 총리 후보군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