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투표에서 분출된 분노... 이제는 ’통통통’ 리더십이다.
〔헤럴드경제=한석희ㆍ김윤희 기자, 이정아 인턴기자〕초박빙 구도속에 19일 치러진 대선 성적표는 통합이 아니라 분열의 상징이다. ‘75.8%, 48.02%’ 당장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00% 대한민국’을 위해 향후 5년 내내 마음속에 간직해야 할 숫자다. 두 숫자에는 세대간 갈등, 이념간 갈등, 계층간 갈등으로 골병을 앓고 있는 ’2012 대한민국의 현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박 당선인은 당선 확정 후 첫 일성으로 “제가 선거기간 중 세 가지 약속을 드렸다”면서 “‘민생 대통령’ ‘약속 대통령’ ‘대통합 대통령’이 되겠다는 약속을 반드시 지키겠다”고 밝혔다. 민생을 통한 대통합, 사회적 대타협은 박 당선인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절대절명의 과제다.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내리막이던 투표율은 이번 대선에서 75.8%로 급반등했다. 2030세대의 좌절과 분노, 5060 세대의 급진적 변화에 대한 불안감이 맞물린 결과다. 이명박정부에 대한 실망감과 미래시대에 대한 목마름으로 2030 세대가 투표장으로 달려갔다면, 5060세대는 참여정부로의 회귀에 대한 강력한 반감으로 앞다퉈 투표권을 행사했다. 세대간 ‘분노의 투표’가 2002년 16대 대선 당시 보다 높은 투표율로 이어진 셈이다.

2030 세대와 5060 세대의 확연하게 갈린 투표성향은 ‘분노의 투표’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방송3사 공동 출구조사 기준으로 20대와 30대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에게 67%의 높은 지지를 보냈다. 반대로 50대와 60대는 박 당선자에게 각각 62.5%, 72.3%의 몰표를 줬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내가 투표안하면 질 것 같다’는 생각에 주위 사람들을 데리고, 같이 가면서 높은 투표율로 이어졌다”고 분노의 투표를 해석했다.

세대간 극한 대결은 무조건적인 진보와 보수의 이념대결, 상대편에 대한 맹목적인 반감으로 표출됐다. 선거 당일까지 정책은 실종됐고, 네거티브 혼탁 선거만이 난무했다. 전문가들은 "참여정부, 실용정부에 이어 ’편가르기’, ’혐오의 정치’가 우려된다"고 걱정하고 있다.

문 후보가 얻은 1469만2632표(48.0%)에도 많은 의미가 담겨 있다. 이는 역대 최다표차로 당선된 17대 이명박 대통령이 얻은 1149만표는 물론, 16대 노무현 대통령의 1200만표 보다도 많다. 이 대통령과 노 대통령을 청와대로 보냈던 유권자 보다 많은 이들이 ‘박근혜는 안된다’는 심리를 노골적으로 표출한 셈이다.

이와함께 양극화와 공정한 시장질서 붕괴가 가져온 계층간 갈등도 이번 대선의 잔여물이다. 경제민주화가 시대정신의 표상으로 받아들여진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박 당선자가 맹목적인 반감으로 갈라진 ‘니편’ ‘네편’을 ‘100% 대한민국’으로 엮을 수 있는 사회적 대타협에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봇물을 이루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절반에 가까운 48.0%와 함께 가가 위해서는 탕평인사 등 ‘통통통’(통합ㆍ소통ㆍ통일) 리더십이 절실하다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소장은 “심리적 표차는 0.01%이기 때문에 국민들의 좌절감, 허탈감, 실망감이 클 수 뿐이 없다”며 “이게 여론으로 분출되면 새 대통령이 국정운영하는 데 애를 많이 먹을 수 뿐이 없다”고 지적했다. 최 소장은 특히 “결국 통합의 리더십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이런 통합의 리더십은 앞으로 탕평인사를 통해서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hanimom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