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불특정 다수 소액 모아 자금조달…미소금융 ‘크라우드 펀딩’ 활성화 길열다
대선 펀드와 같은 정치인 펀드가 주목을 받으면서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 활성화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영화제작과 같은 문화 활동을 위해 주로 모집됐던 ‘크라우드 펀딩’은 서민과 금융 소외계층을 위한 미소금융 채널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크라우드 펀딩은 자금이 필요한 프로젝트나 이벤트를 온라인에 공개해 불특정 다수로부터 소액의 자금을 모으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특정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제도권 금융회사를 통하지 않고 인터넷 상의 매개체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박근혜ㆍ문재인 대선후보가 내놓은 펀드도 크라우드 펀딩의 예가 될 수 있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전 세계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개수는 2007년 이후 5년 새 5배 증가했다. 지난해 취급한 프로젝트는 120여만개였으며 조달된 자금 규모는 15억달러였다. 올해는 이 규모가 28억달러에 달할 정도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시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크라우드 펀딩 국외동향 및 시사점’ 세미나에서 “대출형 크라우드 펀딩의 경우 서민과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채널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은 “크라우드 펀딩은 자금 수요와 공급 간 간격이 매우 좁아지는 것을 의미한다”며 “간결한 플랫폼이 과도한 수수료를 낮춰 자금 대여 비용이 낮아지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투자자 보호를 위한 규율체계가 확립되지 못하고 있다고 이 위원은 지적했다. 미국의 경우 개인의 연간 투자한도를 설정하는 등 투자자가 100% 손실을 부담해야 하는 펀드의 특성에 따른 최소한의 보호장치가 마련했다.

이 위원은 “크라우드 펀드는 펀딩 당시 밝혔던 자금의 목적과 달리 쓰여도 사실상 규제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 없다”며 “별도의 규율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남현 기자/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