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영란 기자의 아트 앤 아트> 2012 미술계 구색 맞추기 비엔날레 봇물…한국미술시장은 연중 찬바람
전국 대도시서 비엔날레 홍수
기대에 못미친 파급력 도마에

고가 작품 부실저축銀 로비 도구로
부정적 이미지 확산 더욱 부채질

세계 경기침체 여파 거래 부진
화랑들 전시장 축소 등 몸집 줄이기




2012년 우리 미술계는 주요 미술관과 몇몇 화랑들만 선전했을 뿐 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졌다. 하반기에는 전국적으로 비엔날레가 봇물을 이뤘지만 완성도가 떨어지는 비엔날레가 적지않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올해 미술계를 결산해본다.


▶뜨거운 환호=올해는 해외에 본거지를 두고 활동 중인 서도호(런던), 김수자(뉴욕), 양혜규(베를린)의 활동이 눈부신 한 해였다. 설치미술가 서도호는 지난 3~6월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가진 ‘집 속의 집’전이 10만1200명의 관람객을 끌어모으며 리움 개관 이래 최다 관람객 수를 기록했다. 이는 ‘앤디 워홀 팩토리’전(2007년)의 기록을 제친 것이어서 더욱 화제를 모았다. 서도호는 올 광주비엔날레에서도 깜찍한 이동식 호텔(‘틈새호텔’)로 호평을 받았다.

양혜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해외 주요 미술관으로부터 미처 소화하기 힘들 정도로 열띤 러브콜을 받았다. 또 5년마다 열리는 세계적 미술제인 카셀도큐멘타에 초청받아 독특한 신작을 선보였다. 

올해 한국 미술품 경매에서 가장 비싼 21억원에 팔린 이우환의 ‘점으로부터)’.                  [사진=서울옥션]

영상, 설치를 넘나드는 동갑내기 작가 문경원·전준호는 올 들어 국내의 주요 미술상을 휩쓸며 그야말로 기염을 토했다. 카셀도큐멘타에 참가했던 두 사람은 올 광주비엔날레에서 대상인 ‘눈예술상’을 받았으며, 국립현대미술관이 수여하는 ‘올해의 작가상’까지 거머쥐었다.

한편 국립현대미술관, 삼성 리움 등 주요 미술관과 몇몇 화랑의 전시를 제외하곤 참신하고 괄목할 만한 전시는 찾아보기 힘든 한 해였다.  

▶비엔날레 홍수=‘한국은 비엔날레공화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지자체마다 비엔날레(격년제 현대미술제)가 봇물을 이뤘다. 9월 초 광주비엔날레를 필두로 대구, 부산, 대전, 서울 등 전국의 대도시들이 11월까지 각종 비엔날레를 일제히 열었다.

그러나 지자체마다 ‘구색 맞추기’처럼 개최하는 비엔날레에 대해 정확한 좌표 설정과 중간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지방자치제가 처음 시행된 1995년 광주비엔날레가 첫선을 보인 이래 전국의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열고 있는 비엔날레는 막대한 예산(5개 비엔날레 총200억원)에 비해 문화적 파급력과 의미는 당초 기대에 못미친다는 지적이 줄을 이었다.

▶잇따른 스캔들과 사고=작년에 이어 올해도 쉴 새 없이 터진 크고 작은 사건들로 미술계는 따가운 시선을 받아야 했다. 부실 저축은행들이 미술품을 비자금 조성의 도구로 활용한 사실이 밝혀지며 미술시장의 투명성 확보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더욱 커졌다. 특히 지난 6월 거액의 불법대출 및 개인비리를 저지른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이 고가의 미술품을 로비와 담보 명목으로 무분별하게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며 미술에 드리워진 부정적 이미지를 부채질했다.

미술품이 비리에 잇따라 연루되면서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미술품 양도소득세 부과에 반대하는 미술계의 주장은 힘을 잃은 상태다. 그러나 미술품 양도세 폐지를 촉구하는 미술계의 움직임은 여전하다.

표미선 사단법인 한국화랑협회 회장은 “각종 비리사건과 세금 부과문제는 별개로 봐야 한다. 또 미술품 거래 시 화랑과 작가는 이미 세금을 내고 있다. 여기에 양도소득에 대해 종합과세가 부과될 경우 가뜩이나 침체된 미술계는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작가들의 활동 또한 위축될 것”이라며 양도소득세 부과안을 보완할 대체입법을 제안하고 나섰다.

한편 지난 8월에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ULL) 신축 공사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현장 근무자 등 4명이 숨지고 25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써 내년 말 개관은 불투명해졌다.

▶꽁꽁 얼어붙은 미술시장=해외 경매시장에서는 노르웨이 작가 뭉크의 ‘절규’가 역대 미술품 경매 중 최고가를 경신(1363억원)했으며, 중국 작가 장다첸(張大千)과 치바이스(齊白石) 작품의 낙찰총액은 피카소를 앞지르며 엄청난 파란을 일으켰다. 이후로도 중국의 근대 미술품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그러나 한국 미술시장은 일년 내내 침체를 거듭했다. 이우환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점으로부터’(1977)가 서울옥션이 홍콩에서 개최한 11월 경매에서 21억원(수수료 별도)에 낙찰되며 해외에서 거래된 한국작가 작품 중 최고가를 기록하긴 했지만 이 작품은 3점이 연작으로 이뤄진 것이어서 ‘낙찰가가 기대에 못미쳤다’는 분석이 많았다.  

화랑에서의 작품 거래는 더욱 저조해 화랑주들은 “올 들어 고객의 발길이 거의 끊겨 규모가 큰 전시는 개최할 엄두가 나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더구나 내년에는 침체가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자 화랑들은 연말을 기점으로 전시장 축소 등 몸집 줄이기에 나섰다. 아울러 대형 전시는 더욱 줄어들 것으로 전망돼 미술계는 내년에도 우울한 기상도가 점쳐지고 있다.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