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 박수진> ‘교육대통령’ 선거에도 관심을…
한해 7조6000억여원의 예산을 집행하고, 학생 127만명의 교육과 미래를 책임지는 게 서울시 교육감이다. 2206개 초ㆍ중ㆍ고교, 7만9400여명의 교원이 그의 방침에 따라 교육의 향방을 정한다. 서울시 교육감은 또 1200여명의 공립초중등학교장 인사권을 쥐고 있고, 학원 등 지역 내 사교육기관을 점검ㆍ단속할 권한도 있다. 실로 막강한 권한과 책임이 있는 자리다.

그래서 유권자들은 오는 12월 19일 대통령선거와 동시에 있을 서울시교육감 선거 때 보다 신중하고 주의깊게 투표권을 행사할 필요가 있다. 그가 앞으로 전임자의 잔여임기 1년7개월간 서울 교육을 끌어갈 교육대통령인 까닭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실상은 다른 것 같다. 선거를 13일 앞둔 지금도 교육감 재선거에 대한 서울시민의 관심은 미미하다. 후보 이름은커녕 출사표를 던진 후보가 5명이라는 사실도, 대선과 함께 치러진다는 사실도 알지 못하는 시민들이 적지 않다.

무관심을 부추기는 요소도 적지 않다. 대선에만 관심이 쏠리면서 교육감 선거는 안중에 없다. 2008년, 2010년 선거 때보다 관심도가 떨어졌다. 후보들을 살펴볼 기회가 많지 않은 것도 문제다.

관련법상 후보들은 1회 이상 TV 합동 토론회를 개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교육감 재선거를 앞두고 토론회는 6일 단 한 차례다. 생중계를 담당하는 공영 방송사 측에서 “방송 일정상 가능한 날이 이날뿐”이라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시간도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로, 직장인 등이 실시간으로 시청하기는 어렵다.

여론의 무관심 때문인지 후보들의 정책 및 공약 준비도 허술하다. 시민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만한 구체적인 공약이 없다. 대선 바람에 편승해 가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2008년 교육감 직선제가 도입된 이후 서울은 4년간 세 번의 교육감 선거를 치렀다. 선출된 교육감들이 뇌물 수수와 사후후보자매수 혐의 등 불미스러운 일로 자리를 물러났기 때문이다. 이런 슬픈 역사가 반복돼서는 안된다. 슬픈 역사를 후보 탓으로만 돌릴 순 없다. 후보를 제대로 살펴보려는 유권자들의 노력과 열정이 필요하다.

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