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평균시청률 0.4~0.6% 저조…정치적 중립성 논란 잇따라
12월 1일 개국 1년 맞는 종편채널
뉴스ㆍ드라마ㆍ교양ㆍ오락ㆍ스포츠 등 지상파TV처럼 모든 장르를 종합편성하는 케이블TV의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이 12월 1일 개국 1년을 맞는다. 숱한 논란 속에 출발했음에도 종편의 시청률은 0.4~0.6%로 매우 저조하다. 여기에다 부실 콘텐츠, 불공정 외주제작, 광고시장 질서 교란 등 많은 문제를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년 만에 드러난 정체성 위기=지난 1년 동안의 종편 채널별 시청률은 극히 저조하다. MBN이 0.643%, JTBC와 채널A가 각각 0.5%대, TV조선은 0.4%대로 극히 저조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약간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지만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시청률이 높았던 프로그램은 월드컵축구 아시아 예선전과 일부 특별기획 드라마들이 있지만, 종편 전체의 인지도 상승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JTBC를 제외하고 나머지 3개 채널은 드라마ㆍ시트콤ㆍ예능 등 비용이 많이 드는 콘텐츠 투자를 포기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스튜디오 촬영에다 신문사 내부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것으로 전략을 선회했다. 특히 정치보도에서 보수층, 고령층의 성향에 맞는 보도를 시도함으로써 신문 독자층을 방송 시청층으로 연결 짓고 시청률도 오르는 효과를 냈다.

29일 방송통신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전체 방송시간에서 드라마ㆍ예능 등 오락프로그램 편성의 비율은 개국 초인 지난 1월 JTBC 45.7%, TV조선 48.1%, 채널A 49.2%, MBN 41.7% 등을 각각 기록했다.

하지만 7개월이 흐른 지난 8월 JTBC 27.5%, TV조선 24.1%, 채널A 29.6%, MBN 20.1% 등 오락물 편성은 절반 가까이 줄었다. MBN은 4월, 5월, 7월에는 각 19.1%, 18.3%, 19.4%씩만 편성, 20%를 밑돌기도 했다. 오락물을 비교적 높게 편성한 JTBC는 적자규모도 올 상반기 825억원으로 가장 크다.


편성과 관련해 종편은 지상파와 동일한 ‘오락물 50% 이내’ 편성 규제만을 받고 있다. 이로인해 종편의 성격이 ‘보도채널’로 바뀌어도 이를 규제할 마땅한 방안이 없어 비난을 받고 있다.

▶끊이지 않는 공정보도 논란=뉴스쇼 형식의 두 프로그램은 선거방송심의위원회로부터 ‘사실과 의견 구별’ ‘정치적 중립’ 등 규정 위반으로 각각 ‘주의’와 ‘권고’ 조치를 받았다. 방송통신심의위가 집계한 결과, 지난 27일까지 선거방송과 관련해 법정 제재와 행정지도를 받은 건수는 채널A가 10개로 가장 많고 TV조선 4, JTBC 4, MBN 4 등 모두 22건이다.

1월부터 11월 22일까지 일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법정 제재와 행정지도를 받은 건수는 종편 70, 지상파TV 167, PP 170 등이다. 종편 1개사 평균 18개꼴이다. 이는 전체 PP 수가 200여개가 넘는 것을 감안하면, 개국 1돌 종편의 심의규정 위반 건수는 지나치게 많다.

선거방송심의위원인 김현주 광운대 교수는 “지상파는 논평과 뉴스가 분리되는데 종편의 ‘뉴스쇼’는 의견과 사실이 겹쳐 있다. 새로운 표현양식이어서 우리(선거방송심의위)도 판단하기 곤혹스러울 때가 많다”고 말했다.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대부분의 종편체널은 노골적으로 특정 정파의 이데올로기에 부합하는 방송을 내보내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며 “지상파에는 강력한 책임을 묻는데, 종편은 중간광고, 유리한 채널번호 등 특혜만 주고 법ㆍ제도적 의무감이나 사회적 책무감은 느슨하다. 지상파든 케이블이든 동일한 대칭규제를 받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