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금렬 나눔정책추진단장, “기업은 가장 기본적인 사회안전망”
[헤럴드경제=박도제 기자]“기업은 복지정책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사회 안전망입니다. 기업이 없다면, 그 부분을 국가가 책임져야 합니다.”

박금렬 보건복지부 나눔정책추진단장은 각종 복지 정책을 실현하는 데 있어 우리나라 기업의 역할과 중요성을 매우 높게 평가했다. 박 단장은 희망나눔N캠페인이나 사회기부 컨설팅과 같이 민간 자원을 바탕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하는 정책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먼저 우리나라 기업들의 사회공헌에 대한 진단을 수치로 표시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20개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공헌 활동 비용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매출액 대비 0.24%에 달하지만, 미국과 일본은 각각 0.11%, 0.09%에 그치고 있다. 이는 기부 스타일에 따른 차이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사회공헌 기여도가 적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박 단장은 양적인 증가 뿐만 아니라 질적인 변화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무엇보다도 지난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로 전세계가 금융위기를 겪은 이후 기업들의 사회공헌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폭도 확대됐다는 지적. 그는 “지난 2005년 기업들의 사회공헌 분야별 비중을 볼 때 교육기부가 가장 많고 그 다음 사회복지, 문화 보건의료 등이 뒤를 이었다”며, “하지만 2010년에는 사회복지 분야가 가장 높았고 교육 국제구호 등이 뒤를 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변화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의 병폐가 부각되고 사회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배경 이유를 설명했다. 소비자 단체의 영향력이 커지고 시민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진 것도 기업의 사회공헌 수준을 과거 기업 이미지를 높이는 차원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 기업 생존 전략에도 영향을 미치게 됐다는 지적이다.

복지정책과 기업의 관계에 대해서도 그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일본 가전업체 샤프의 몰락으로 세수가 줄어들고 공장이 있던 가메야마시의 각종 복지 정책이 중단되는 것을 볼 때 복지정책에 있어 기업이 차지하는 의미는 엄청나다”고 말했다. 과거 탄광이나 수출자유지역 등 호황을 누리던 지역의 복지 수준도 관련 기업의 흥망성쇄에 따라 달라졌다는 지적이다.

그는 복지정책에 있어 기업의 역할을 없어서는 안 될 ‘사회안전망’에 비유했다. 기업이 제공하는 수많은 일자리는 물론 장애인 고용, 저소득층 채용 등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지원 등의 역할은 복지 정책의 선순환을 만드는 데 밑받침이 되는 역할이라는 지적이다. 그는 “일자리 만큼 좋은 복지정책은 없다”며,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기업의 역할이 곧 경제 민주화와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복지 정책에 있어 기업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알리는 한편 새로운 사회공헌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이 그의 주장. 박 단장은 “기부자조언기부와 같이 새로운 민간 기부 방법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연말 세액공제로 돌려받는 금액을 특정 사회복지단체 등에 지정 기탁하는 방법을 도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8개월째 나눔정책추진단을 이끌고 있는 박 단장은 나눔 문화 확산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한 기본법으로서 ‘나눔기본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pdj2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