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커버스토리> 인적네트워크 활용 ‘휴민트’ 로 정보 수집
공정위·금감원·시중은행
‘금융검찰’인 금융감독원에서는 거시감독국의 ‘금융동향분석팀’이 정보수집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 과거 증권감독원 시절부터 30년 이상 운영돼 온 정보조직은 팀장 1명에 수석조사역 2명, 선임조사역 2명, 조사역 1명 등 6명이 정예요원으로 활동한다. 특정 정보원이나 일반 내부협조자 등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휴민트(HUMINTㆍ인적정보)’ 기법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취합된 정보는 금감원장에게 ‘직보’한다. 이들은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시장 정보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장이나 정치인 동향 등도 수시로 파악해 보고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요 기관인 금융위원회, 검찰, 감사원, 국회 등에는 관련 부서 직원들이 각각 파견돼 공식적인 채널을 확보하고 있다”면서 “주로 조직의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의 정보수집 활동은 참여정부 이후 다소 위축된 분위기다. 당시 증권가를 중심으로 노무현 대통령 내외와 유명 정치인 등에 대한 미확인 정보가 범람하면서 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정보폭력(일명 찌라시)’ 청산작업이 이뤄진 것이다.

서울 여의도 증권가를 주름잡던 금감원의 정보조직도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DJ(김대중) 정부 때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정보조직들이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다”면서 “참여정부 들어 학교폭력, 조직폭력과 함께 정보폭력을 ‘3대 폭력 척결’ 대상에 포함하면서 여의도 일대의 정보요원들이 자취를 감췄다”고 말했다.

‘경제경찰’을 자처하는 공정거래위원회는 담합 사건에 관한 정보수집을 위해 내부 정보망 외에 ‘자진신고자 과징금 면제(리니언시)’제도를 적극 활용한다. 지난해에는 34건의 담합 사건 가운데 리니언시 적용 건이 32건으로 85.2%에 달했다. 또 리베이트 신고를 활성화하기 위해 후한 포상금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이 밖에 시중은행들은 별도의 정보라인을 운영하는 대신 홍보ㆍ기획팀에서 기본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입찰 등 업무 관련 정보는 해당 팀에서 자체 운영하고 있다.

<최진성ㆍ윤정식 기자>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