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중문화, 동물에 빠지다…드라마 ‘마의’, 영화 ‘늑대소년’ , 개콘 ‘브라우니’ 등 인기몰이
대중문화계가 동물과 사랑에 빠졌다. 애완동물을 키우는 애완인구 1000만명 시대, 동물이 나오는 TV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 영화, 가요 등이 비슷한 시기에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며 전례없이 모두 대중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방송에선 조선시대 말을 돌보는 천한 마의(馬醫)에서 어의(御醫) 신분까지 오른 실존인물의 삶을 다룬 MBC 월화사극 ‘마의’가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달리고 있다. 이 드라마 속에는 지난 10회까지 말, 개, 소, 양 등 가축 뿐 아니라 고양이, 원숭이, 타조, 토끼까지 대거 출연해 열연(?)을 펼쳐보였다.

예능프로그램 시청률 1위인 KBS2 ‘개그콘서트’의 ‘정여사’ 코너에서 정여사의 애완견으로 나오는 시베리안허스키 개 인형 ‘브라우니’는 여느 개그맨 보다 인기가 더 좋다. 진짜 개도 아닌 인형에 불과한데도 출연 동료 개그맨을 따돌리고 단독으로 의류 CF 계약을 따내, 다음달부터 TV 광고에도 출연할 예정이다.

스크린에선 한 암컷만을 바라보며 목숨까지 바치는 유일한 포유류, 수컷 늑대의 성질이 새삼 관객을 울리고 있다. 송중기, 박보영 주연 영화 ‘늑대소년’은 지난달 31일 개봉 이후 닷새만에 관객 130만을 동원하며 개봉 1주차에 흥행 1위를 차지했다. 늑대와 인간의 유전자 변형체인 늑대소년과 소녀의 사랑 이야기로, 소녀는 늑대소년을 길들이기 위해 ‘애완견생활백서’를 들춘다.

가요계에선 말 타는 춤사위가 세계를 휩쓴 지 수개월째다.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서구 문화권을 비롯해 지구촌에서도 성공한 데는, 말춤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그런가하면 화랑가에도 동물이 전시장의 한 편을 차지하고 있다. 김영미 작가는 오는 7~13일 서울 종로구 관훈동 인사아트센터에서 ‘동물로 담은 실존의 우리들’을 주제로 한 개인전을 연다. 그동안 인체를 사실적으로 그리는 데 진력해 온 작가가 사실적 대상을 동물로 치환해, 인간성을 비틀고 반성한다.

이처럼 동물이 대중, 순수 문화예술의 중심 소재로 떠올라 한꺼번에 대중적인 흥행을 거둔 일은 무척 이례적인 일로 여겨진다. 과거 ‘각설탕’(말), ‘마음이’(개) 등 동물과 인간의 교감을 다룬 영화들이 간간이 출현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적은 있지만, 영화, 드라마, 가요, 예능 1위 작품 속에서 모두 동물과 함께 하기는 처음이다.

제작진 측에서도 이런 흥행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다. 50부작인 ‘마의’에서 말, 개, 고양이는 극 초반 주인공 백광현(조승우)의 의술과 착한 심성을 보여주기 위한 보조적 수단이었다. ‘마의’ 제작진 관계자는 “기획 단계에서 동물로 어필해야하겠다는 의도는 없었다”며 “동물이 사람처럼 (눈물을 흘리는 등)연기를 하니까, 시청자들 눈에 신기하고 귀여운 거다”고 말했다.

‘브라우니’ 인기 역시 우연히 터졌다. 소품 정도로 쓰일 예정이었다가 무심하고 시크한 성격을 부여받아 시청자의 사랑을 한 몸에 받게 됐다.

‘늑대소년’은 한국전쟁 직후를 배경으로 한 복고 감성과 동물의 순수함이 만화같은 영상 연출에 잘 녹아든 점이 관객을 끌어들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런 예상 밖 흥행에는 동물을 돌보고 정서적인 교감을 통해 위로받고자 하는 심리와 동물만이 가진 순수함에 이끌리는 동경 심리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윤석진 충남대 국문과 교수는 “음모와 계략, 술수 등 극 속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인간의 속성이 동물에겐 없다. 동물은 아이처럼 순수함 그 자체다. 동물 등장 장면을 보면서 가슴이 짠한 것은 생존 경쟁 속에서 퇴화했거나 잃어버린 순수함이 자극되고, 그런 부분을 동경하게 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 교수는 “인간이야기에는 한계가 있어 변화를 주려는 시도라고 볼수도 있고, 그동안 한국 사회를 지배해 왔던 물질만능주의, 생명경시풍조에 대한 반성과 성찰로도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