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란판 우리식대로’..서방제재 자급자족으로 대항
[헤럴드생생뉴스]핵개발에 따른 서방의 잇따른 경제제재로 어느 때보다 힘겨운 시간을 보내는 이란이 수입품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생산을 늘려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 하고 있다. 마치 세계 유례없는 폐쇠국가인 북한의 자급자족경제체계인 ‘우리식대로’를 연상케 한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이미 외국 제품 이용에 길들여져 있고 경제제재 조치로 원자재 가격이 엄두도 못 낼 만큼 상승하면서 수백 개의 공장이 문을 닫아 이란의 ‘자급자족’을 향한 길이 순탄치만은 않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집권한 지난 2005년 이후 이란의 수입총액은 391억달러에서 575억달러(약 63조200억원)로 급증했다. 아마디네자드 정부 들어 사치품에 대한 높은 관세를 폐지하고 리알화가 강세를 보이며 수입품에 대한 접근이 더 쉬워졌고 이는 ‘메이드 인 이란’ 제품의 고전으로 이어졌다.

서방의 경제제재 이후 지난 1년간 리알화 가치가 80%나 폭락하면서 이란산 제품이 다시 살길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지만 이번에는 국산 제품에 대한 이란인들의 불신이 걸림돌로 작용했다.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일부는 국산 구매로 돌아선 경우도 있었지만 이란인들은 가격이 저렴하다고 해서 모든 국내 생산품을 신뢰할 준비가 돼 있지 않았다. 대부분이 이란산 제품은 수입제품보다 질이 낮다고 회피해왔기 때문이다.

예컨대 치약의 경우 사람들이 수입품인 센소다인 치약 1개에 5만리알을 낼 준비는 돼 있지만 값이 4분의 1밖에 되지 않는 국산 브랜드를 살 생각은 누구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란에서는 수입품을 선택하는 것은 종종 사회적 지위로 설명된다. 이란 사람들은 수입품, 특히 미국과 유럽 제품을 높은 질에 더해 높은 지위와 연결짓기 때문이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도 이란은 중동 어느 국가보다 자동차를 많이 생산해왔지만 올해는 외국 자동차 가격이 국산보다 급격하게 올랐는데도 국산 자동차 생산이 40%이상 급감했다.

이처럼 그동안 국산 제품이 외면받아온데다 경제 제재로 원자재가격이 폭등하거나 자재를 구할 수조차 없게 되면서 공장이 줄줄이 문을 닫은 것도 ‘자급자족’ 계획의 또 다른 걸림돌이다.

이란 당국은 애국심에 호소하는 전략이 ‘메이드 인 이란’ 제품의 잃어버린 설 자리를 되찾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여기에 필수품이 아닌 제품의 수입을 줄이겠다며 구입 자제를 촉구하고 수입품을 필요 정도에 따라 필수품부터 사치품까지 나눠 환율을 차등적용하겠다는 방안을 발표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