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견 조선사 ‘선종 다변화’로 불황 파고 넘는다
SPP ‘해양작업지원선’ 건조
성동, 참치선망선 시장 개척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견 선사들이 선종 다변화를 통해 불황 극복 의지를 다지고 있다. 그간 이들 업체는 일부 선종을 특화해 전문성을 키워왔지만, 글로벌 경기침체로 대부분의 상선 시장에서 발주가 이뤄지지 않자 선종 다변화를 통해 수주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22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SPP조선이 최근 LPG선과 해양작업지원선(PSV선) 등 지금까지 건조 경험이 없는 새로운 선종을 수주하기 위해 영업 전선에서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당초 SPP조선은 중형 석유화학운반선(MR탱커) 시장의 강자로,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업체다. MR탱커 분야에서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특화된 것. 또 중형 벌커나 컨테이너선도 SPP조선의 주력 분야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SPP조선이 특화시켜온 선종들이 올해 발주가 거의 이뤄지지 않으면서 수주 활동에 어려움을 겪게 됐다. 이에 따라 SPP 내부적으로는 선종 다변화의 필요성을 절감하며, 우선 자체 기술로도 건조가 가능한 LPG선과 PSV선으로 선종을 확대하는 전략을 세웠다.

성동조선해양은 최근 경쟁사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참치선망선 시장을 개척했다. 원양선사들이 보유한 참치선망선의 선량이 높다는 사실을 착안하고, 원양선사들을 대상으로 영업을 펼친 결과 사조산업, 한성기업 등으로부터 수주할 수 있었다. 실제로 국내 원양어선 379척 중 21년 이상 된 어선이 318척(83.9%)으로, 선박의 수명이 30년임을 감안하면 노후선 대체를 위한 추가 발주가 조만간 이뤄질 수 있다는 게 성동 측 설명이다.

이와 함께 성동은 셔틀탱커 시장 진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셔틀탱커는 해양플랜트에서 뽑아낸 원유나 석유제품을 육지로 운반하는 선박으로, 최근 대형 해양플랜트 발주가 이뤄지면서 함께 주목받고 있다.

<신소연 기자>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